audioclip.naver.com/channels/5708
본 포스팅은 9월 8일에 나갈 팟캐스트의 논문 요약본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Practice of Assessment in Extensive Reading
Author: Missok Kim
(1) 연구 배경
많은 연구들에서 ER의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ER을 지속하기 위해 교사의 역할을 조사한 연구들도 다수 존재하지만 ER수업의 평가 기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없다. 특히, 다른 Proficiency level을 가진 학생들에 대한 평가 기술에 대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혼합방법 연구를 통해 연구를 하려고 한다.
(2) 연구 문제
1. How do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English perceive the assessment techniques used for extensive reading?
2. What is students’ attitudes on the assessment techniques used for extensive reading and their perceived impact on their English skills through extensive reading?
3. What are professors’ attitudes on the assessment techniques used for extensive reading and their perceived impact on students’ English skills?
(3) 연구 방법
a. 대상
대학 신입생 232명
Basic classes : 126명
Intermediate classes : 106명
교수자 13명
b. 수업
영어수업에서 16주 동안 Graded Reader를 4권 읽어야 함 (과에서 정해준 책 리스트 중에 교수자가 선정한 4권 한 권은 무조건 non-fiction) - Graded Reader Level과 학습자 영어 수준을 맞춤
c. 도구
학생용 설문조사 25 문항 (1~5점 척도)
1~3: Demographic information
4~6: Use of devices to aid reading
7~14: Topic of assessment
15~21: The student's perceived improvement of English skills
22~24: The affective learning domain
25: Open-ended question about GRs.
교수자용 설문조사 23문항 (1~5점 척도)
1~3: Demographic information
4: The topic of monitoring reading
5~7: Use of devices to aid reading
8~14: The assessent types
15~21: The perceived impact on students' English skills
22~23: Open-ended question about GRs.
인터뷰
학습자 2명, 교수자 1명
(4) 연구 결과
학습자
a. 사용한 장치
- 학습자들은 모르는 단어를 넘길 수 없었고 어떻게든 찾으려는 습성 때문에 도구들을 이용해 단어를 찾음.
- 또한 관련된 정보를 찾는 학습자도 존재함
b. Assessment type
- Basic 그룹은 DPP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함 (Writing은 너무 어렵다고 생각함)
- Intermediate 그룹은 WOT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함
- It seems that an assessment that is less burdensome on memory is preferred by students.
c. Effectiveness of assessment type
- This fact indicates that the basic level of students preferred the WSA technique more than the intermediate group, even though they did not think it was the most effective assessment technique.
- DPP가 두 그룹 모두 가장 선호하는 방법이었다.
- First, students want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ideas and thoughts. Second, they prefer sharing their ideas with their peers and listening to their peers. This is likely to lessen their cognitive burden for the assessment. By listening to their peers, students can come up with ideas to share and participate in discussion and debate.
d. Perceived Impact on Language Improvement
- 두 그룹 모두 Graded Reader를 읽는 것이 영어 공부라고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 단어와 읽기 능력은 도움이 되지만 다른 영어 스킬에 대하여는 관련이 없다고 생각함.
e. The affective domain
교수자
a. Use of Device
b. Types of assessment
c. 효과적인 평가 방법
d. GR을 하는 이익
(5) 연구 결론
우선 초급 학습자들은 평가 방법 중 단답식 평가와 동료와 교수자와의 토론이 많이 실행됐고 토론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반면 중급 학습자들은 객관식 문제와 True and false 문제로 평가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학습자들은 주제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쓰는 활동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교수자들은 단답식과 토론의 평가방식을 선호했는데 쓰기 활동이 가장 효과적인 평가 방법이라고 이야기하였습니다. 교수자들이 이런 평가 방법을 선호한 이유는 채점의 용이성이었다고 이야기하였습니다.
최. 영. 수. 의 팟캐스트 질문
연구
- 연구 맥락과 도구(방법)의 기술을 통일성 있게 논리에 맞게 자세히 써야 하지 않을까? (이 논문에서는 평가 타입에 대한 설명을 추가했어야 하지 않을까? (Consturcut)
수업
- 학습자에게 ER 프로그램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ER 수업이 보다 학생들에게 잘 이해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학생과 교사 모두)
- 교수자는 실제로 글을 작성하는 것이 학생들의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믿지만, 현실에서는 객관식, T/F을 활용한다. 이유는 채점이 용이해서 인 것으로 유추된다. 연구결과에 따라 학습자들이 원하는 '주제에 대한 의견 쓰기'를 적극 활용할 경우 교수자가 덜 힘을 들이고 효과적으로 피드백을 줄 수 있을지?
- ER 수업 후 평가 타입이 학생들의 생각을 쓰지 않는 기본적인 일치/불일치 문제들을 사용했을 때 ER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을까?
- 연구에서 보인 통제된 ER의 경우에는 이런 평가의 방법이 가능 하지만 책 선정부터 권수, 속도 등 모든 것이 학생들에게 맡겨진 경우에는 어떤 평가 방법을 사용해야 할까?
이제 마지막 방학특집 (방학은 다 지났지만) 다음 주에는 상반기 연구 동향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저희가 이해하고 있는 논문을 포스팅으로 남깁니다.
만일 오타나 표현 실수, 분석 실수 등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