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duct_Manager

[코드스테이츠 PMB 7기] 크라우드펀딩의 대부(?) Kickstarter의 비전과 목표 그리고 제품

by 매드포지 2021. 6. 7.
728x90
반응형

 

  크라우드펀딩 하면 아마 한국에서는 와디즈(Wadiz), 텀블벅(Tumblbug), 해피빈(Happy Bean) 정도가 떠오를 것이다. 조금 더 크라우드펀딩에 관심이 있다면 아마 크라우디, 스토리 펀딩이 떠오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크라우드펀딩은 종류가 다양한데 어떤 리워드를 제공형 즉, 제품, 상품 등을 펀딩의 리워드로서 제공하는 형태가 있으며, 지분 투자형 혹은 대출형 크라우드 펀딩이 있다. 와디즈와 크라우디는 리워드와 지분 투자형이 합쳐진 하이브리드 형 모델이라고 할 수 있고, 지분 투자 성격을 띠는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트레이드, 인크 등이 있다. 리워드만 제공을 하는 형태는 텀블벅, 스토리펀딩이 있다.
(몇몇 사람들은 이미 알고 있겠지만 카카오에서 진행했던 스토리펀딩은 2019년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서비스를 종료했다. 스토리 펀딩은 외국의 크라우드펀딩 Patreon과 가장 유사한 형태였다.)

  요즘 와디즈나 텀블벅의 프로덕트 QA, CS 대응, UX 등 여러 가지 문제들로 인해 한국에서 조금 시들해졌다(?)라는 인식이 있지만 크라우드 펀딩 사업은 창작자, 제조사, 소비자를 이어주는 아주 매력적인 시장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공유 자본"이라는 개념에서 앞으로의 시장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공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PM으로써 한국에서 보여준 크라우드 펀딩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이 크라우드 펀딩의 시초이거나 가장 유명세를 탄 서비스, 지금까지도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는 서비스를 분석함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1. Kickstarter 그게 뭐임?


  미국은 시장의 규모도 규모이거니와 치열한 무한 경쟁을 내세우고 있기 때문에 미국 크라우드 펀딩 시장은 정말 다채롭다. 그중 가장 유명한 리워드 형 크라우드 펀딩이 Kickstarter이다. 아마 외국인을 붙잡고 혹시 크라우드 펀딩에 대하여 알고 있냐고 물어보면 10중에 8은 이 Kickstarter를 이야기할 것이다.

킥스타터의 상징 색 연두색 (완두콩 같음 ㅋㅋ)

  2009년에 시작한 이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는 벌써 12년 동안 꾸준히 사업을 이어오며 크라우드펀딩 회사 중 가장 잘 알려진 회사로 자리매김 하였다. Kickstarter에 들어가면 정말 장르가 다양할 정도로 미술, 음악, 연극, 언론, 게임, 기술, 출판, 요식업 등 '다루지 않는 분야가 있나?'라는 의문이 들 정도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발견할 수 있다.

카테고리만 봐도.... 이미 다 한다.

  리워드형 크라우드 펀딩이 그러하듯, Kickstarter의 경우에도 100% 펀딩 금액을 채우지 못하면 펀딩이 무산되고 해당 펀딩은 취소된다. 100%에 미치지 못한 펀딩 금액은 창작자에게 전달되지 못한다. 하지만 100% 펀딩금액을 채우고 나면 초과분에 대해 펀딩 액수에서 Kickstarter에서 5%의 수수료를 떼어간다고 한다. 

  펀딩이 되지 않으면 Kickstarter는 돈을 받지도 않고, 100%만 딱 맞춰서 펀딩이 될 때도 Kickstarter에서는 역시 돈을 가져가지 않는다는 것인데...

그럼 바로 드는 생각이 '음... 장사가 되나?'이다.

  12년 동안이나 장수하며 크라우드 펀딩에서 가장 유명한 서비스이니 방법이 있지 않았겠는가?
2021년 오늘 날짜 6월 07일 기준, Kickstarter는 현재까지 19,791,674 명의 Backers(배커스 - 펀딩에 참여한 사람)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6,681,959 명의 Repeat backers(리핏 배커스 - 펀딩에 재 참여한 사람)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72,945,992개의 Pledges(플렛지스 - 펀딩에서 돈을 후원하는 단계)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Kicstarter Projects 수입은 현재까지 $5,879,710,541이고, 203,110건의 프로젝트가 성공했다고 한다. 잠시 따져보면 한화로 6 조 가량의..... 프로젝트 수입을 거두었다는 것인데 여기에 Kickstarter의 수수료인 5%만 해도 3천억이 넘게 된다. 

  물론 12년 동안 이 정도 수입을 창출한 것이 얼마 안 된다고 생각할 수 있겠으나... '이런 수익 구조로 돈을 벌 수 있을까?'라는 의문은 한방에 날려주는 수치일 것이다.

  재미있는 점은 Kickstarter에서 성공적으로 펀딩이 된 상품보다.... 실패한 상품이 더 많다는 점이다. 성공한 프로젝트의 경우 203,110건인데, 실패한 프로젝트의 수는 319,900건이다. 실패한 상품 중에는 정말 기발하고 쓸데없는 것들도 많이 있다. 이렇게 실패한 것들 중에 정말... 기괴한 것들은 개그의 소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n_QS5VfuT88 

  이 모든 자료들은 Kickstarter 홈페이지에 있는 Stats라는 섹션에서 확인을 할 수 있다.
  (Kickstarter는 링크를 넣을 때마다 공유용 메타 정보가 없다. 본인들 URL 쓰는 걸 싫어하나??)

https://www.kickstarter.com/help/stats

  미국 시장에서 정말 유명한 Kickstarter는 정말 Creator Friendly 즉, 창작자나 예술가 등 프로젝트를 만드는 사람들에게 정말 친절하다. 우리나라의 가장 유명한 크라우드 펀딩의 와디즈(Wadiz)는 수수료를 Light, Basic, Pro, Expert로 나누어 받는다. 최소 기준인 Light의 해당하는 수수료가 9%인 것으로 비추어 봤을 때 Kickstarter의 수수료 5%는.... 정말 착한 가격이 아닐 수 없다.

  Kickstarter의 창작자 친화적(Creator Friendly)인 자세는 사실 이들의 설립 미션에서 시작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2. Kickstarter의 미션과 비전 그리고 목표


https://www.kickstarter.com/about

  Kickstarer의 미션은.... 홈페이지의 Hello 섹션에 간결하지만 강력한 형태로 쓰여 있다.

Our mission is to help bring creative projects to life.
(우리의 미션은 창조적인 프로젝트들이 살아나는 것 (빛을 보는 것)을 도와주는 것입니다.)

Kickstarter campaigns make ideas into reality. It's where creators share new visions for creative work with the communities that will come together to fund them.
(Kickstarter의 캠페인은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듭니다. 창작자들이 창작 활동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커뮤니티와 함께 나누고 기금을 마련하는 곳입니다.)

  Mission statement만 잘 살펴보더라도 그들의 목표(how to)는 확실하다. 아이디어가 있는 창작자들의 제품, 서비스를 현실에 내놓을 수 있게끔 1)창작자와 펀딩 참여자들을 위한 커뮤니티를 만들고, 2) 자금을 마련하는 것이다.

  창작자와 펀딩 참여자들을 위한 커뮤니티를 만드는 작업은 아마 Kickstarter를 한 번이라도 사용해본 유저라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창작자는 펀딩이 완료될 때까지 혹은 완료되고 나서 제품이 고객의 손에 들어갈 때까지 프로젝트에 펀딩 한 사람들과 계속해서 소통할 수 있고, 설문조사, Q&A, 보고서 등 여러 가지 형태로 feedback을 받아 제품을 고치고 제작해 나간다.

개인 이메일 발췌

  Kickstarter는 조금 과하다 싶을 정도로 커뮤니티를 운영하는데, 이런 커뮤니티에서 나온 feeback을 통해 제품의 성격이 변하거나 혹은 구조가 바뀌는 등의 결과를 만들며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물론 이러한 방법에 대해 창작자마다 다른 선호도를 보일 수는 있으나 대부분의 Kickstarter의 프로젝트들이 카테고리를 막론하고 이렇게 커뮤니티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 엄청난 Mission의 구체적 Vision으로 Kickstarter에서는 5가지 정도의 주요 꼭지를 실행시켜나가고 있다.

https://www.kickstarter.com/charter?ref=hello

1) Kickstarter's mission is to help bring creative projects to life
(Kicstarter의 미션은 창의적인 프로젝트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입니다.)
A. Kickstarter will create tools and resources that help people bring their creative projects to life, and that connect people around creative projects and the creative process.
(Kickstarter는 사람들의 창의적인 프로젝트에 생명을 불어넣고 창의적인 프로젝트와 창의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사람들을 연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와 리소스를 만들 것입니다.)

B. Kickstarter will care for the health of its ecosystem and integrity of its systems.
(Kickstarter는 생태계의 건강과 시스템의 무결성을 관리합니다.)

C. Kickstarter will engage beyond its walls with the greater issues and conversations affecting artists and creators.
(Kickstarter는 아티스트와 제작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더 큰 문제와 대화를 통해 벽을 넘어 참여할 것입니다.)
이 부분이 거의 Mission Statement를 확실히 어떻게 할 것인지 잘 보여주는 내용이고... 12년이 지난 지금까지 Kickstarter의 사업 목적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Kickstarter's operations will reflect its values
(Kickstarter의 운영은 그 가치를 반영할 것입니다.)
A. Kickstarter will never sell user data to third parties. It will zealously defend the privacy rights and personal data of the people who use its service, including in its dealings with government entities.
(Kickstarter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3 자에게 절대 판매하지 않습니다. 정부 기관과의 거래를 포함하여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개인 정보 보호 권리와 개인 데이터를 열심히 보호할 것입니다.)

B. Kickstarter’s terms of use and privacy policies will be clear, fair, and transparent. Kickstarter will not cover every possible future contingency, or claim rights and powers just because it can or because doing so is industry standard.
(Kickstarter의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은 명확하고 공정하며 투명합니다. Kickstarter는 가능한 모든 미래의 우발 상황을 다루지 않으며, 가능하거나 업계 표준이기 때문에 권리와 권한을 주장하지 않습니다.)

C. Kickstarter will not lobby or campaign for public policies unless they align with its mission and values, regardless of possible economic benefits to the company.
(Kickstarter는 회사의 가능한 경제적 이익에 관계없이 사명 및 가치와 일치하지 않는 한 공공 정책을 위해 로비하거나 캠페인을 하지 않습니다.)

D. Kickstarter will not use loopholes or other esoteric but legal tax management strategies to reduce its tax burden. Kickstarter will be transparent in reporting the percentage of taxes it pays and explaining the many factors that affect its tax calculation.
(Kickstarter는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허점이나 기타 난해하지만 합법적인 세금 관리 전략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Kickstarter는 지불하는 세금의 비율을 보고하고 세금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소를 설명하는 데 투명합니다.)

E. Kickstarter will seek to limit environmental impact. It will invest in green infrastructure, support green commuting methods, and factor environmental impact when choosing vendors. Additionally, Kickstarter will provide recommendations and resources that help creators make environmentally conscious decisions on tasks, like shipping and packaging, that are common to the use of its services.
(Kickstarter는 환경 영향을 제한하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녹색 인프라에 투자하고 녹색 통근 방법을 지원하며 벤더를 선택할 때 환경 영향을 고려합니다. 또한 Kickstarter는 제작자가 서비스 사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송 및 포장과 같은 작업에 대해 환경을 고려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권장 사항과 리소스를 제공합니다)
이 부분은 기업의 정책과 관련된 부분으로 기업 운영에 대한 것일 수도 있지만 기업 스스로를 보호하는 성격이 강한 것 같다.

 

3) Kickstarter supports a more creative and equiable world.(Kickstarter는 보다 창의적이고 공평한 세상을 지원합니다.)
Kickstarter will annually donate 5% of its after-tax profit towards arts and music education, and to organizations fighting to end systemic inequality as further defined in sections 4(c) and 5(c) below (the “5% pledge”).
(Kickstarter는 매년 세후 수익의 5 %를 예술 및 음악 교육과 아래 섹션 4 (c) 및 5 (c)에 추가로 정의된 바와 같이 조직적 불평등을 종식시키기 위해 싸우는 조직에 기부할 것입니다 (“5 % 서약”).)
사회의 환원이라는 개념에서 출발을 한 것 같은데... 오랫동안 Kickstarter를 사용했지만 이 부분에 대한 보고는 한 번도 전면에 홍보하는 것을 못봤던 것 같다.

 

4) Kickstarter is committed to the arts(Kickstarter는 예술에 진심입니다.)
A. Kickstarter will always support, serve, and champion artists and creators, especially those working in less commercial areas.(Kickstarter는 항상 예술가와 제작자, 특히 덜 상업적인 지역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지원하고, 봉사하고, 옹호할 것입니다.)
B. Kickstarter will foster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employees to work on their own creative projects, including time off to pursue them.(Kickstarter는 직원들이 자신의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환경을 조성할 것입니다.)
C. Half of Kickstarter’s 5% pledge will be devoted to arts and music program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with a primary focus on underserved communities in New York City. Funds will be distributed to 501(c)(3) organizations, public schools, or via programs developed by Kickstarter.(Kickstarter의 5 % 약속의 절반은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예술 및 음악 프로그램에 사용될 것이며 뉴욕시의 소외된 지역 사회에 중점을 둘 것입니다. 기금은 501 (c) (3) 기관, 공립학교 또는 Kickstarter에서 개발 한 프로그램을 통해 배포됩니다.)
조금만 Kickstarter의 프로젝트들을 살펴보면 확실히 해당 프로젝트들을 통해서 예술분야에 진심을 다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Kickstarter is committed to fighting inequality(Kickstarter는 불평등과 싸우기 위해 노력합니다.)
A. Kickstarter will provide opportunities and paid time off for employees to provide professional mentorship and skills training to people from groups underrepresented in the worlds of art, business, or technology.(Kickstarter는 직원들에게 예술, 비즈니스 또는 기술 분야에서 소외된 그룹의 사람들에게 전문적인 멘토링과 기술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와 유급 휴가를 제공합니다.)
B. Kickstarter will report on team and leadership demographics, executive and CEO pay ratios, andprograms and strategies employed to build a diverse, inclusive, and equitable organization.(Kickstarter는 팀 및 리더십 인구 통계, 임원 및 CEO 급여 비율, 다양하고 포용 적이며 공평한 조직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전략에 대해 보고합니다.)
C. Half of Kickstarter’s 5% pledge will be devoted to organizations addressing systemic inequality. Kickstarter will primarily focus such contributions on 501(c)(3) organizations fighting to end prejudices against and increase opportunities for people of color, women, and LGBTQ individuals.(Kickstarter의 5 % 약속의 절반은 체계적 불평등을 해결하는 조직에 사용될 것입니다. Kickstarter는 주로 유색 인종, 여성 및 LGBTQ 개인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기회를 늘리기 위해 싸우는 501 (c) (3) 조직에 이러한 기여를 집중할 것입니다.)
실제로 미국에서 Black Lives Matter 운동이 일어났을 때 Kickstarter의 로고가 검은색으로 바뀌고 밑에 헤쉬 태그로 BlackLivesMatter를 거의 1년 넘게 달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회사가 추구하고 이 제품을 만든 이유는
" To Help Bring the Creative Idea to Reality "

 창의적인 생각이 현실로 나타나게 도와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 커뮤니티를 만들고 자금을 모으는 캠페인/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여러 창의적인 생각이 현실로 나오게끔 해주고 있다는 것이다.

 

3. Kickstarter의 제품 (Campaign/Project) 그리고 문제점


  위에서 본 Kickstarter의 미션, 비전은 결국 크리에이터를 돕는다는 목적에 있는데 이것을 2가지 형태 (Community, Fund)로 달성하려고 한다고 위에서 언급하였다. 그래서 캠페인(Campaign) 혹은 프로젝트(Project)라고 불리는 Kickstater의 제품을 통해 실제적으로 창작자와, 소비자(고객 - Backers)를 이어주게 된다.

  이런 식으로 제품의 페이지가 나오고 캠페인(Campaign)에서는 이 프로젝트(Project)의 자세한 제품의 소개가 들어간다. 그리고 어떤 변경사항이나 사람들에게 필요한 설문조사 등은 업데이트(Updates)를 통해서 제작자가 알려주고 이메일로도 발송된다. 그리고 주황색으로 표시한 코멘트(Comments)에 보면 이미 시작한 지 5일도 채 되지 않아서 5,617개가 쌓인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고객(Backer) 간 이야기가 오고 가기도 하고 제작자도 참여하여 답을 달아주는 등 활발하게 활동이 이루어진다.

  재미있는 점은 코멘트(Comments)에서 나온 피드백(Feedback)이 실제적으로 캠페인(Campaign)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Kickstarter campaign은 그래서 제작자만 제품을 만드는 사람이 아니라 고객(backer)들도 제품을 만드는 공동 창작자(Co-creater) 개념을 도입했다고 할 수 있다. Kickstarter는 이러한 커뮤니티를 만들어가며 그들의 미션을 이루어가고 있다. 

  이런 Community를 시발점으로 펀드(Fund)는 당연히 따라올 수 밖에 없는 것이 된다. 물론 초기 Kickstarter에서는 이 자금이 솔직히 착했다(?)라고 할 수 있다. 많은 돈을 요구하지도 않았고, 또한 창작자에게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하기 위한 플랫폼으로서 충분했기 때문에 가격(펀딩금액)이 합리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요즘에는 문제가 되고 있는 현상이 있는데, 바로 펀딩 금액의 상향 평준화이다. 

 

문제 1. 돈이 목적인가?


보드게임이.... 800달라? 100만원?????

  예시로 보드게임 Kickstarter 프로젝트에서 모든 구성품들이 포함된 가격은 무려 800달러에 달한다. 보드게임으로 거의 100만 원을 태우는 것이다. 더 재미있는 것은 이 가격은 세금, 배송료가 포함이 되지 않은 가격으로 세금과 배송료가 더해지면.... 100만 원을 훌쩍 넘기는 가격이라는 점이다.

  이런 현실이기에 꽤나 멋있는(?) Mission과 Vision을 가지고 있는 Kickstarter는 아쉽게도 거의 5년 전 정도부터 비판의 여론을 거세게 받고 있다. 그 비판의 핵심에는 이 Kickstarter의 본질인 Mission이 헤이해 졌다는 목소리인데 구체적으로 Kickstarter의 제품들이 이런 소규모, 혹은 개인 창작자를 서포트하는 것에 비중이 아닌 거대 자본, 혹은 이미 인지도와 유명도를 가지고 있는 창작자, 기업들의 프로모션 장으로 바뀌었다는 비판이다.

https://www.huffpost.com/entry/why-kickstarter-is-corrup_b_8111662

 

Why Kickstarter Is Corrupted

I hate my gut for saying this, but I think Kickstarter has become corrupted. What once started as a platform for inventors and creators to showcase their...

www.huffpost.com

  실제로 이러한 문제는 고객(backers)에게 전체적인 Project 자금의 상승으로 와 닿았다. 기존에 판매되었던 제품이 Kickstarter Exclusive라는 이름을 달고 10~20 달러 이상 인상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문제 2. 왜 내가 펀딩한 제품이 안 오지?


  또 다른 문제로는 프로젝트의 전달률이다. 전달률이란 문제는 와디즈(Wadiz), 텀블벅(Thumblbug)에서 있었던 소위 먹튀(?) 수준이다. 매해 거의 9%에 달하는 프로젝트들이 고객(Backer)들에게 펀딩에 대한 리워드를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 부분이 가장 비판받고 있진 않지만 물 건너 한국에서는 이 먹튀 현상(?)으로 인해 엄청난 파장이 있었다.

  미국 펀딩 시장은 창작자에게 자신의 돈을 펀딩함으로써 그에 따른 리워드는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라는 펀딩 + 기부라는 문화가 자리를 잡고 있다. 그래서 자신이 좋아하는 제작자, 창작자에게는 리워드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추가로 기부하는 사람들도 있다. 

MORE

 그래서 후원(Pledge)하는 곳을 보면 리워드에 해당하는 최소의 금액을 적어놓고 or more를 통해 추가로 펀딩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실제 펀딩 페이지로 넘어가 보면 추가금을 합해 후원할 액수를 적는 칸이 아예 따로 있을 정도이다.

  이처럼 조금은 독특한 형태의 펀딩 + 기부라는 문화가 자리가 잡은 미국에서도 9%의 전달률 실패는 매우 큰 것으로 치부된다. 또한 제작자 혹은 창작자가 커뮤니티에 활발한 활동을 하지 않고 사과나 별다른 변명이 없이 기한을 미루고 미루다 실패를 하는 경우가 이 9%의 대부분이기 때문에 고객(Backer)은 불쾌함을 느끼는 것이다.

  또한 펀딩이라는 개념은 개인의 선택에 의한 투자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Kickstarter에서는 돈을 물어줄 의무나 이유가 전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창작자와 고객(Backer) 사이의 문제로 떠넘기는 형태를 보여줬을 때 고객(Backer)은 분노를 금치 못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이러한 기부가 포함된 펀딩의 개념이 거의 없다시피 하며 또한 선주문이라는 개념과 펀딩의 개념을 혼용하고 있는 복잡한 문제로 인해 와디즈와 텀블벅의 먹튀(?) 사건이 큰 파장을 일으키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한다.

 

 

 

문제 3. 내가 생각한 제품이 아닌데?


  또한 그 이외의 문제는 제품의 질과도 관련이 있다.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의 사업적 특성상 플랫폼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플랫폼에서는 연결을 해주는 역할 외 다른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성향이 강하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프로젝트의 사업성, 혹은 성실성 등을 판단하는 것은 이 플랫폼 회사가 아닌 고객(Backers)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 때문에 펀딩을 했는데 그 회사에서 광고한 만큼의 제품의 효용성이 없다던지 혹은 내가 생각한 제품보다 크기 면에서 작던지 크던지 하는 어떤 사이즈의 자잘한 차이까지도 고객이 안고 가야 한다. 

  Kickstarter에서는 제품과 광고, 프로젝트의 불일치로 인해 펀딩을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제대로 된 제품이라고 생각해서 펀딩을 하고 막상 배송을 받아 사용해보니 쓸모없는 것일 때가 있는데 이러면 정말 이쁘고 비싼 쓰레기를 펀딩 한 것이 된다. 

  그래서 오죽하면 Kickstarter의 제품들을 리뷰해서 쓸만한지 쓸만하지 않은지를 판단하는 유튜브 리뷰어들도 많이 생겨나고 있는 추세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_XujP24x0nY&list=PLWJ5FU1UcwL4xuNbivtRbihsU8IOykSpi&index=3 

 

 

4. 정리


이제는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Why, How, What을 생각해 보자

Why? 왜 이 제품을 만들고자 하는가? 

소규모 창작자 혹은 아이디어가 있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자신의 상품을 알리고 제작하기 어려운 사람들(소위 Creator)과 돈은 있지만 새롭고 신기한 제품들을 필요로 하는 고객(Backer)들을 이어줘서 묻힐 뻔한 상품들이 세상에 나올 수 있도록 하자

 

How? 어떻게 제품으로 고객 가치를 달성할 것인가 

사업자, 창작자에게는 펀딩(Funding)의 형태의 돈으로, 고객에게는 펀딩의 상품(Reward)를 통해 둘의 필요를 채우도록 하자

그로 인해 발생하는 Community를 통해 고객(Backer)들을 사업자, 창작자에게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해 좀 더 나은 제품이 나오도록 도와준다.

 

What? 무엇을 만들어 고객에게 가치를 도달하게 할 것인가?

고객들(Backers)들에게는 프로젝트를 통해 펀딩의 달성률이 그 상품의 가치를 정하게 하고 100% 펀딩 된 상품들을 직접 제공하고

사업자, 창작자에게는 펀딩(Funding)을 받을 수 있는 프로젝트(Project)를 열어 홍보하고 고객들과 소통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을 통해 가치에 도달하자.


  이번에는 관심 있게 봐온 Kickstarter의 Mission과 Vision 그리고 목표와 제품을 보고 지금 Kickstarter가 겪고 있는 (외부적으로 알려진) 문제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과연 이러한 문제들을 Kickstarter에서는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개선하기 위해 노력할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Kickstarter의 Mission과 Vision에 위배되는 문제점들을 살펴 보면서 PM으로써 한국시장에 도입 가능한 개선점은 어떤 것이 있을까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다. 

참고자료:

https://www.kickstarter.com/fulfillment

https://www.huffpost.com/entry/why-kickstarter-is-corrup_b_8111662

 

Why Kickstarter Is Corrupted

I hate my gut for saying this, but I think Kickstarter has become corrupted. What once started as a platform for inventors and creators to showcase their...

www.huffpost.com

https://www.itworld.co.kr/slideshow/75688/%ed%81%ac%eb%9d%bc%ec%9a%b0%eb%93%9c%ed%8e%80%eb%94%a9+'%ed%82%a5%ec%8a%a4%ed%83%80%ed%84%b0'%ec%9d%98+9%ea%b0%80%ec%a7%80+%ed%9d%a5%eb%af%b8%eb%a1%9c%ec%9a%b4+%ea%b8%b0%ec%88%a0+%ed%94%84%eb%a1%9c%ec%a0%9d%ed%8a%b8 

 

크라우드펀딩 '킥스타터'의 9가지 흥미로운 기술 프로젝트

프로젝트 기획자는 상품의 소비자들에게서 직접 투자금을 모으는 방식인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서 소액의 기부금을 받아 꿈을 현실화할 수 있다.   킥스타터(Kickstart

www.itworld.co.kr

https://quickbooks.intuit.com/r/crowd-funding/8-crowdfunding-sites-which-is-best-for-you/

 

8 crowdfunding sites for your small business | QuickBooks

There are tons of crowdfunding sites to choose from to raise money for your business or project. Here are eight of the best.

quickbooks.intuit.com

https://en.wikipedia.org/wiki/Kickstarter

 

Kickstarter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US-based crowdfunding platform Kickstarter is an American public benefit corporation[2] based in Brooklyn, New York, that maintains a global crowdfunding platform focused on creativity

en.wikipedia.org

https://www.wadiz.kr/web/wboard/newsBoardDetail/7659

 

(NEW) [서비스 안내] 펀딩 수수료 개편 안내

메이커가 선택하는 펀딩 요금제

www.wadiz.kr

https://www.kickstarter.com/about

https://www.kickstarter.com/?ref=nav 

 

제가 공부하고, 이해해본 PM에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으로 남깁니다.
잘못된 생각이나 혹은, 이견, 참고자료 등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