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에 한쪽으로 공부하기/Article

[CNN] Trump’s bombardment of dishonesty: Fact-checking 32 of his false claims (28) Overturn, Reiterate, Flatly, Cottage Industry

by 매드포지 2024. 7. 10.
728x90
반응형

확대해석은 거짓말이 아니지!

트럼프가 생각하기에 임의 해석, 확대 해석쯤은 거짓말이 아닌 게 분명하다. 물론 낙태 관련 문제가 꽤나 오랜 시간문제가 되어 왔기에 이런 일이 있을 수도 있고 또한 보수층에서 바라보는 낙태는 있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더 핫했을 수도 있다. 확실히 젠더 문제와 낙태 문제는 보수와 진보가 극명하게 갈리는 부분이기 때문에 오히려 더 강하게 트럼프가 이야기할 수밖에 없고 하게끔 하는 뜨거운 감자임에는 분명하다.


원문

TIME Interview with Trump

 

Read the Full Transcripts of Donald Trump's Interviews With TIME

”The advantage I have now is I know everybody. I know people. I know the good, the bad, the stupid, the smart.”

time.com


CNN Fact Checking

 

Trump’s bombardment of dishonesty: Fact-checking 32 of his false claims to Time | CNN Politics

Washington CNN  —  Former President Donald Trump delivered a bombardment of dishonesty in his interviews with Time magazine. Trump, the presumptive Republican presidential nominee, made at least 32 false claims in the two April interviews that Time re

www.cnn.com


English Version

Assorted other claims

Legal scholars and Roe v. Wade

Speaking about the Supreme Court’s 2022 reversal of the 1973 Roe v. Wade decision that had guaranteed abortion rights across the country, Trump said, “Every legal scholar, Democrat, Republican, and other wanted that issue back at the states. You know, Roe v. Wade was always considered very bad law. Very bad.”

Facts First: Trump’s claim that “every legal scholar” wanted the issue of abortion law returned to the states — in other words, wanted Roe v. Wade 1) overturned — is false. Many legal scholars wanted Roe preserved, as several of them 2) reiterated to CNN when Trump made a similar claim in April.

“Any claim that all legal scholars wanted Roe overturned is mind-numbingly false,” Rutgers Law School professor Kimberly Mutcherson, a legal scholar who supported the preservation of Roe, said Monday.

“Donald Trump’s claim is 3) flatly incorrect,” said another legal scholar who did not want Roe overturned, Maya Manian, an American University law professor and faculty director of the university’s Health Law and Policy Program.

Trump’s claim is “obviously not” true, said Mary Ziegler, a law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who is an expert on the history of the US abortion debate. Ziegler, who also did not want Roe overturned, said in a Monday interview: “Most legal scholars probably track most Americans, who didn’t want to overturn Roe. … It wasn’t as if legal scholars were somehow outliers.”

It is true that some legal scholars who support abortion rights wished that Roe had been written differently; the late liberal Supreme Court Justice Ruth Bader Ginsburg was one of them. But Ziegler noted that although “there was a 4) cottage industry of legal scholars kind of rewriting Roe – ‘what Roe should’ve said’ — that isn’t saying Roe should’ve been overturned. Those are very different things.”


한글 해석

다양한 주장들

법학자들과 로(Roe) 대 웨이드(Wade) 판결

1973년 로 대 웨이드 판결을 뒤집어 전국적으로 낙태 권리를 보장했던 대법원의 2022년 판결에 대해 이야기하며 트럼프는 "모든 법학자, 민주당, 공화당, 그리고 다른 모든 사람들이 그 문제를 주로 돌려보내기를 원했다. 로 대 웨이드는 항상 매우 나쁜 법으로 여겨졌다. 매우 나빴다"라고 말했다.

팩트 체크: 트럼프가 "모든 법학자"가 낙태법 문제를 주로 돌려보내기를 원했다고 다른 말로 로 대 웨이드의 1) 판결을 뒤집기 원했다고 주장한 것은 사실이 아니다. 많은 법학자들이 로 판결의 유지를 원했으며, 트럼프가 4월에 유사한 주장을 했을 때 여러 법학자들이 CNN에 이를 다시 한번 2) 되풀이했다.

"모든 법학자가 로 판결의 뒤집기를 원했다는 어떤 주장도 어처구니없이 거짓이다"라고 로 판결의 유지를 지지했던 럿거스 로스쿨 교수 킴벌리 머처슨은 월요일에 말했다.

로 판결의 뒤집기를 원하지 않았던 또 다른 법학자인 아메리칸 대학교 법학 교수이자 대학교의 보건법 및 정책 프로그램의 교수 디렉터인 마야 마니안은 "도널드 트럼프의 주장은 3) 완전히 잘못되었다"라고 말했다.

로 판결의 역사를 전문으로 하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캠퍼스의 법학 교수 메리 지글러는 "트럼프의 주장은 명백히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지글러는 또한 로 판결의 뒤집기를 원하지 않았으며, 월요일 인터뷰에서 "대부분의 법학자들은 아마도 대부분의 미국인들과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로 판결을 뒤집기를 원하지 않았다. 법학자들이 어떤 면에서 이례적이었던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낙태권을 지지하는 일부 법학자들이 로 판결이 다른 방식으로 작성되기를 원했던 것은 사실이다. 고(故) 자유주의 대법관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가 그중 하나였다. 그러나 지글러는 "법학자들이 로 판결을 재작성하는 4) 소규모 집단이 있었지만, 그것은 로 판결이 뒤집혀야 한다는 것과는 다른 이야기다. 이것은 매우 다른 문제다"라고 말했다.


1.  Overturn

그렇게 어려운 단어가 아니지만 문맥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을 해야 하는 여지가 있는 단어이다.

무언가를 넘겨서 돌려버린 것 같은 이 단어는 결국 '뒤집다, 전복시키다'라는 뜻으로 어떤 물리적 힘이 가해진 것처럼 보이게 한다.
하지만 이게 계획이나 목적, 목표에 사용되면 뒤집어졌기 때문에 '좌절시키다, 패배시키다'라는 뜻으로 사용이 된다.

또한 재판이나 판결, 혹은 결과에 사용이 되면 '뒤집히다, 번복시키다, 되돌리다'라는 뜻으로 사용이 된다.
그리고 정부나 기관 단체에 사용이 되면 '전복, 타도, 와해, 멸망'이란 뜻으로 사용이 되기도 한다.

위의 기사에서는 판결을 '되돌리다, 뒤집다'라는 뜻으로 overturn이 사용이 되었다.

예문을 보도록 하자.
1)
The rough water overturned their boat.
(거친 파도에 그들의 보트가 뒤집었다.)

2)
They plotted to overturn the government.
(그들은 정부의 전복을 꾀했다.)

예문 1)에서는 '뒤집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예문 2)에서는 '전복'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2. Reiterate

이 담어는 iterate에 re-를 붙였다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재미있게도 iterate가 이미 '되돌아가다, 반복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이 단어에 re-를 붙여 더 강조를 했다고 생각해야 한다.
그래서 뜻은 '반복하다, 되풀이하다, 다시 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강조하다, 강조해 언급하다'라는 뜻으로 의역을 해도 된다.

위에 기사에서는 트럼프의 계속되는 거짓 주장에 '다시 한번' 법학자들이 이야기했다고 이야기하며 reiterate를 사용하였다.

예문을 보도록 하자.
1)
Let me reiterate that we are fully committed to this policy.
(거듭 말씀드리지만 저희는 이 정책에 완전히 전념하고 있습니다.)

2)
I want to reiterate that our mission is to filter out all the bugs in the program.
(프로그램의 모든 버그를 걸러내는 것이 우리의 임무라는 것을 반복해 말합니다.)

예문 1)에서는 '거듭 말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예문 2)에서는 '반복해 말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3. Flatly

다소 쉬워 보이는 단어가 부사화가 되면 뜻이 좀 달라져 혼동을 줄 때가 있다.
이 flatly는 flat + ly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이 단어의 뜻이 형용사 flat에 조금 더 추가를 해야 한다.

flat은 '평평한, 평지인'이란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flatly는 '평지의, 평평하게'라는 뜻으로 사용이 될 것처럼 보인다.
물론 어떤 면이나 사물, 배경 등에 사용이 되면 그렇지만 이 flatly는 어투에 더 많이 사용이 된다.

어투에 flatly를 사용하면 '단호히, 딱 잘라서, 단칼에'라는 뜻으로 다소 딱딱하게 거절하거나 문제를 지적할 때 사용이 된다.
또한 전혀 주관이 들어있지 않은 것 같은 어투로 '단조롭게, 무미건조하게, 심드렁하게, 흥미 없이, 맥없이'라는 뜻으로 사용이 되기도 한다.

또한 단호함을 넘어서 '완전히, 철저히'라고 사용이 될 때도 있다.

위의 기사에서는 트럼프의 주장이 '완전히' 틀렸다고 이야기하면서 flatly를 사용하였다.

예문을 보도록 하자.
1)
He flatly refused to discuss the matter.
(그는 그 문제에 대한 논의를 딱 잘라 거절했다.)

2)
I flatly refused to spend any more time helping him.
(나는 그를 돕는 데 조금이라도 더 시간을 쓰는 것을 단호히 거부했다.)

예문 1)에서는 '딱 잘라'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예문 2)에서는 '단호히'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4. Cottage industry

이게... 단어들을 다 알지만 해석이 안 되는 전형적인 단어라고 할 수 있다.

cottage는 '작은 오두막, 작은 집'이란 뜻이고 industry는 '산업, 공업'이란 뜻이 있다.
그럼... 작은 오두막 산업???

뭐 완전히 틀렸다고는 할 수 없지만 조금 풀어서 해석을 하면 작은 오두막에서 할 수 있는 산업을 의미하면 '가내 공업, 가내 수공업'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가내 공업뿐만 아니라 어떤 '소규모의 단체'를 이야기할 때도 이 표현을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좋다.

위의 기사에서는 낙태법과 관련해서 그것을 다른 식으로 풀어서 개정하려는 '소규모 단체'를 이야기하면서 cottage industry를 사용하였다.

예문을 보도록 하자.
1)
Making clay pots is a cottage industry in that small town.
(진흙으로 항아리를 만드는 것이 그 조그마한 마을의 가내 수공업이다.)

2)
Weaving and knitting are traditional cottage industries.
(바구니 짜기나 뜨개질은 전통적인 가내 공업이다.)

예문 1,2) 모두에서 '가내 공업, 가내 수공업'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제가 이해하고 있는 영어를 포스팅으로 남깁니다.
만일 오타나 오역, 영어 표현 실수 등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