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에 한쪽으로 공부하기/Article

[CNN] Trump’s bombardment of dishonesty: Fact-checking 32 of his false claims (16) Leave aside, Oft-

by 매드포지 2024. 6. 12.
728x90
반응형

관세를 오히려 미국인이 부과했다는 게 웃기네

관세를 부과하면서 문제는 중국인들이 돈을 올려서 물건을 팔아 버리기 때문인지 결국에는 미국인들이 그 관세까지 냈다는 결론이 다다르면 사실 관세로 돈을 벌었다는 말은 거짓이 되어 버린다. 항상 생산자나 공급자의 세금이나 관세 등의 문제가 생기면 소비자에게 가격으로 부담을 쥐어버리기 때문인데... 참 경제란 어려운 지점이 있는 것 같다.

자본주의라는 게 결국은 한정된 리소스에서 부자만 부자가 되는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지만 중국과 미국의 관계도 서로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서 이리저리 정치, 경제, 사회 등을 통해 노력하는 게 보인다. 그래도 자국 내 소비로도 어느 정도 경제가 돌아가는 게 참 부럽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은 너무 작아 내수로 경제가 거의 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수출, 수입에 의존하는 비율이 너무 강해서 이런 대국들의 싸움에 휘청 휘청하지 않은가.

하지만 또 옆 나라 일본을 보면 이것도 그렇게 나쁘지 않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일본도 내수로 어느 정도 먹고살 수 있기 때문에 일본의 빚을 엔화가 내려갔을 때 어느 정도 해결을 한다면 엄청난 반등을 할 수 있기에 이 부분이 부럽기도 하다.


원문

TIME Interview with Trump

 

Read the Full Transcripts of Donald Trump's Interviews With TIME

”The advantage I have now is I know everybody. I know people. I know the good, the bad, the stupid, the smart.”

time.com


CNN Fact Checking

 

Trump’s bombardment of dishonesty: Fact-checking 32 of his false claims to Time | CNN Politics

Washington CNN  —  Former President Donald Trump delivered a bombardment of dishonesty in his interviews with Time magazine. Trump, the presumptive Republican presidential nominee, made at least 32 false claims in the two April interviews that Time re

www.cnn.com


English Version

Trade and the economy

Past presidents and tariffs on China 

Defending his tariffs on Chinese products, Trump said, “Look, I took in billions of dollars from China. Nobody else ever did anything on China.”

Facts First: Temporarily 1) leaving aside the fact that study after study has found that Americans, not China, overwhelmingly paid for Trump’s tariffs on Chinese products, it’s not true that “nobody else ever did anything on China.” The US has had tariffs on goods from China since the late 1700s; as president, Barack Obama imposed new tariffs on goods from China; FactCheck.org reported that the US generated an “average of $12.3 billion in custom duties a year from 2007 to 2016, according to the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DataWeb.”

This Trump claim to Time was a vaguer version of his 2) oft-repeated false claim that no previous president generated even “10 cents” from tariffs on China.


한글 해석

무역과 경제

과거 대통령들과 중국에 대한 관세

중국산 제품에 대한 자신의 관세를 옹호하며 트럼프는 “보세요, 나는 중국으로부터 수십억 달러를 받아들였어요. 다른 누구도 중국에 대해 아무것도 하지 않았어요.”라고 말했다.

팩트 체크: 수많은 연구에서 트럼프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주로 미국인이 지불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는 점을 잠시 1) 차치하고서라도, “다른 누구도 중국에 대해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미국은 1,700년대 후반부터 중국산 상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해 왔다. 대통령으로서 버락 오바마도 중국산 상품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했다. FactCheck.org는 미국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연평균 123억 달러의 관세 수익을 올렸다고 보도했으며 이 수치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 데이터웹(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DataWeb)에 따른 것이다.

트럼프가 Time과의 인터뷰에서 주장은 그가 2) 자주 반복하는이전 대통령들은 중국에게 관세로 10센트도 벌어들이지 못했다 거짓 주장의 모호한 버전입니다.


1.  Leave aside

의미를 잘 생각해 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은 어휘이다.

어떤 것을 잠시 옆으로 치워 놓는 느낌으로 생각을 하면 중심 의미가 거의 다 들어온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뜻은 '내버려 두다'라는 일반적인 뜻을 중심으로
'제외하다, 차치하다, 제쳐놓다'라는 뜻으로 많이 사용이 된다.
또한 조금 감정이 들어가서 '무시하다, 모른 체하다'라는 뜻으로 사용이 될 수도 있다.

위에서도 관세를 중국인이 아닌 미국인이 지불했다는 사실을 '제외, 차치하다'라는 뜻으로 leave aside를 사용했다.

예문을 보도록 하자.
1)
I shall leave aside the racist taunts.
(저는 인종차별적인 조롱은 무시하겠습니다.)

2)
I leave aside the issue of lay members.
(전 평신도 문제는 제쳐두고 있습니다.)

예문 1)에서는 '무시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예문 2)에서는 '제쳐두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2.  Oft-

잘 생각해 보면 어떤 뜻인지 알 수 있는 단어이지만 당황할 순 있다.ㅋ

oft- 거의 접두어, 혹은 부사처럼 사용이 되지만 단어의 앞에 붙여 어떤 행위의 빈번함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often에서 온 단어로 짧게 사용을 하는 느낌으로 '자주~하는, 종종'이란 뜻으로 사용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재미있는 점은 oft-repeated로 많이 사용이 되는데 이게 '역전'같은 느낌으로 '빈번하게 자주 반복되는'이란 뜻으로 사용된다.

위의 기사에서도 oft-repeated로 사용이 되어서 트럼프의 '자주' 반복하는 주장에 대하여 표현하였다.

예문을 보도록 하자.
1)
One oft cited coincidence concerns Umberto I, a former king of Italy.
(자주 인용되는 우연은 전 이탈리아 왕인, 움베르토 1세에 관한 것이다.)

2)
Taste is one of the oft-neglected sense by visual artists.
(미각은 시각 예술가들에 의해 종종 무시되는 감각이다.)

예문 1)에서는 '자주'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예문 2)에서는 '종종'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제가 이해하고 있는 영어를 포스팅으로 남깁니다.
만일 오타나 오역, 영어 표현 실수 등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