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KATE supplement호 리뷰에서는 Universal Grammar에 대한 내용을 했었습니다.
이번에는 supplement호의 두 번째 주제인 Emergentism에 대한 2개의 논문을 요약, 리뷰 하였습니다.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5708
Testing Usage-Based Approaches to Assessing EFL Learners’ Development of English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
Author: Hyunwoo Kim, Yangon Rah, and Haerim Hwang
Key words: constructional knowledge, Korean EFL learners, developmental process, sorting task, translation
(1) 연구의 종류
양적 연구 (+ cross-sectional study)
(2) 연구 Main Theme
- Constructions Development in L1
Goldberg (1995,2006)는 construction을 형태-의미 대응의 독립적인 구성이라고 본다.
C is a constructioniff(def) C is a from-meaning pair <F(i), S(i)> such that some aspect of F(i) or some aspect of S(i) is not strictly predictable from C’s component parts of from other previously established constructions (Goldberg, 1995, p.4)
5가지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 in English
이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는 인간의 기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언어적 프레임을 제시한다.
L1의 경우 2가지에 의해서 이러한 constructional development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1) Usage-based constructional approaches (Language experience), 2) prototypicality of language input
1)의 usage based
초기 L1학습자들이 많은 양의 정보를 축적하고 높은 출현 빈도를 가진 동사들을 얻게 되면서 볼 수 있다. -> 이렇게 되면서 constructional representations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 constructional representations의 경우 syntactic and semantic frames를 제공하는 녀석이다.
2)의 Prototypicality of language input
어린 학습자들이 light verb(의미가 약한 동사들, get, have, do, take, give, make 등)을 많이 의존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mother talk에서 어린 학습자들에게 light verb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어린 학습자들이 light verb를 많이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construction으로 보면 go in the intransitive-motion, give in the ditransitive, put in the caused-motion construction)
=> 결국 L1상황에서는 language experience를 통해서 abstract constructional representations를 구축하고 light verb들과 prototypicality을 통해서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을 강화하고 일반화시킨다고 볼 수 있다.
- Construction development in L2
L2의 경우 후기 학습자들 즉, 영어 실력이 어느 정도 올라와있는 학생들에게 충분한 Constructional knowledge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연구들을 통해서 usage-based constructional development가 2가지 양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1) 학습자들의 proficiency에 따라서 sorting task의 경향성이 다르게 나온 것을 보아 L1 학습자들도 많은 language experience를 통해서 constructional knowledge를 구축했던 것처럼 L2 proficiency도 향상함에 따라서 constructional knowledge를 구축하고 의존하게 된다.
2) translation task의 결과로 보아 각각의 construction들이 L2의 단계별로 나타나는 경향성을 볼 수 있다. 이는 각각의 constructions가 그 각자에 가진 prototypicality와 frequency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노출이 적게 된 순서대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Transitive construction이 가장 먼저 Resultative construction이 나중에)
KEY 참고문헌
Goldberg, A. E., Casenhiser, D., & Sethuraman, N. (2004). Learning argument structure generalizations. Cognitive Linguistics, 15(3), 289-316.
Lee, J.-H., & Kim, S.-S. (2016). Korean college students’ knowledge on English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 depending on English proficiency.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16(2), 121-142.
Liang, J. (2002). Sentence comprehension by Chinese learners of English: Verb-centered or construction-based. Unpublished MA thesis, Guangdong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uangdong, China.
(3) 연구 질문
1. Do Korean EFL learners show increased sensitivity to constructional information in a sorting task as their target language experience accumulates?
(한국 EFL 학습자들은 영어 학습 경험이 쌓여 갈수록(영어실력이 향상될수록) sorting task (분류 과업)에서 constructional information에 민감하게 반응하는가?)
2. Does verb semantics interact with L2 proficiency to influence learners’ sorting tendency?
(Verb semantics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 types)이 L2 능력과 상호작용하여 분류 과업에서 경향성을 보이게 하는가?)
3. Do learners have different degrees of translation difficulties with individual constructions in a translation task?
(학습자들이 다른 난이도의 번역 과업에서 각각의 constructions에 차이를 보이는가?)
(4) 연구 설계
4.1 참여자
169명 = 35명의 초등학생 (5학년) + 36명의 중학생 (7학년, 중1) + 35명의 고등학생 (10학년, 고1) + 31명의 영어전공 아닌 대학생 + 32명의 영어 전공 대학생
(영어 전공 대학생을 제외하고 다른 그룹들은 영어권 국가에서 살아 본 적 없음)
- Proficiency Level Test (C-test): Fill in the blank -> one-way ANOVA로 모든 그룹에서 차이를 보임 (TABLE 2)
4.2 실험 도구 및 진행
- Sentence-sorting and translation task (TABLE 3)
Items:
Lexical verbs (take, get, cut, throw), with 4 types of constructions (Transitives, ditransitives, caused-motions, and resultatives)
Take, get은 light verb로 cut, throw는 heavy verb로 간주
Sentence-sorting task는 각각의 문장들을 4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보게 참여자들에게 시킴
Translation Task는 각각의 문장들을 해석하게 시킴
(5) 결과
5.1 Sorting Scores
(TABEL 4, 5)
참여자들은 language experience가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construction based sorting을 더 많이 함
2가지로 확인
1) 완전히 verb based, Construction based로 분류한 경우 측정
여기서는 language experience가 올라가면 verb based sorting이 줄고 construction based sorting이 느는 것을 보여줌
2) Cdev, Vdev라는 deviation 수치를 만듦 (얼마나 construction based로 했는지 Verb based로 했는지 구체적으로)
Vdev, Cdev 높은 수일 수록 그 sorting을 안 한 것 - deviation이기 때문에 얼마나 떨어져 있는 지를 보는 것.
- 각각의 그룹 간 one-way ANOVA가 차이가 있었음.
하지만 G1–G2, G2–G3, G3–G4, and G4–G5 in Vdev, and between G2 and G3 and between G3 and G4 in Cdev에서는 차이가 없었음
5.2 Cluster Analysis
(Figure 1)
위의 자료를 위계구조에 그래프로 나타낸 것
- 여기서 light verb가 intermediate group (G3 and G4 (고등학생 + 비전공자 대학생)에서 분류를 한 것을 볼 수 있다.
- Verb semantics가 intermediate group에게 영향을 주어서 light verb 같은 분류가 나오게 되었다. 이는 G1, G2 group과 G5 group은 보이지 않는 경향성으로 proficiency level development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보여준다.
5.3 Translation Task
G4의 데이터는 날아감
여기서 코딩을 할 때 각각의 construction에 따라서 코딩 pattern이 정해져 있음
(TABLE 6)
- General analysis
1) Ditransitive와 Caused-motion constructions은 grade level이 올라갈수록 정확해짐
2) Transitive construction은 모든 그룹이 잘함
3) Resultative는 가장 점수가 낮음 (G5에서도)
- Pair-wise group comparison
1) Transitive construction에서는 모든 그룹이 같은 경향성을 보임
2) 하지만 나머지 3 constructions에서는 각각 다른 경향성을 보임
3) Ditransitive에서는 G3와 G5사이를 빼고 다른 그룹 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
4) Caused-motion construction에서는 G2-G3, G3-G5를 제외하고 각각 다른 차이를 보임
= 이는 beginner group과 advanced group의 차이를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두 개의 constructions들은 intermediate level에서 어려움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 Resultative construction에서는 G5와 다른 그룹 간에서만 차이를 보여줬다.
= 결국 결론적으로는 이 Translation Task를 통해서 L2 학습자들이 발달을 함에 따라서 constructional knowledge를 얻게 되고 각각의 단계에 따라서 얻는 construction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ransitive construction은 초기단계에서부터, ditransitive and caused-motion construction의 경우에는 intermediate-level 이상부터, 그리고 Resultative construction 같은 경우에는 advanced들도 어려워하였다.
(6) 결론 및 제언, 한계
- Age, proficiency, language experience 이 3가지의 factor에 대한 조사가 조금 더 필요하다.
- 그리고 verb 자체의 feature인 light, heavy verb가 영향을 미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Light verb는 초기 학습자에게 heavy verb는 후기 학습자들에게 construction을 인식하는 방해 요소로도 작용을 할 수가 있다.
- L1의 development shape을 따라간다고 할 수 있다. (usage-based) 이런 관점에서는 L2 learning process가 L1 learning mechanism의 부수적인 것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기보다는 L2 learning process가 체계적인 구조를 보이고 또한 L1과 다른 요소들이 있을 수 있다.
- 많은 예들과 함께 meaningful input을 학생들에게 주어야 한다.
Contents provided by Victor, Post Production by Victor
Utterance-Based Measurement of L2 Fluency in Speaking Interactions: A Constructionist Approach
Author: Jungyoun Choi and Min-Chang Sung
Key words: L2 speaking interaction, fluency, sentence-level utterance, argument structures, transitive construction
(1) 연구 종류
양적 연구
(2) 연구 Main Theme
- L2 English Fluency in speaking interactions
지금 까지 나온 Fluency의 정의들은 너무 속도에만 치중이 되어있거나 능력에만 치우쳐 있어서 어떠한 pragmatic, semantic feature들과 interaction에서의 관계를 무시하고 있다.
그렇기 이 연구에서 제공하는 fluency의 정의란
Fluency is a communicative ability to effectively express one’s meanings in a variety of contexts and situations, using whatever linguistic forms one has.
- Constructions of English Utterances
Constructional categories는 word, sentence, word-sentence까지 이어지는 form-meaning을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좋은 도구로 여겨져 왔다. 그리고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는 sentence level utterance를 form과 meaning을 통합적으로 분석을 하는데 좋은 도구를 제시하고 있다.
(3) 연구 질문
1. How does L2 fluency in speaking interactions, measured by the total number of utterances, vary among individual learners?
(총 발화 수로 측정되는 말하기 상호작용의 L2 유창성은 각각의 학습자마다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2. Do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 contribute to L2 fluency in speaking interactions? If so, is there any variance in their contributions? What construction makes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ion?
(만약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가 L2 상호작용 유창성에 기여한다면, 기여 정도의 차이가 있는가? 어떤 construction이 가장 유의미하게 기여하는가?)
3. What usage patterns of the construction do L2 learners with varying levels of fluency show in speaking interactions?
(다양한 수준의 유창성을 가진 L2 학습자가 말하기 상호작용에서 어떤 construction 패턴을 보여주는가?)
(4) 연구 설계
4.1 참여자
25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들
Proficiency Level: Novice high, 5개의 그룹으로 성, proficiency를 균등하게 구성
4.2 실험 도구 및 진행
- communicative tasks (group activities)
- 진행
30분간 5번의 걸쳐서 진행 3단계 pre-speaking, speaking, and post-speaking
4.3 분석 방법
- AS(analysis of speech)-unit
T-unit대신 사용, C-unit을 많이 사용하는데 여기서는 conversational interaction을 보기 위해서 AS-unit로 분석.
AS-unit은 interaction을 통해 발화, 대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AS-unit은 그래서 word-level, sentence-level로 나누어져 있다.
- 본 논문에서는 sentence-level은 7의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와 extra construction (existential, causative, evaluative) 분류하였다
- 다중 회기 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통해 sentence-level utterance pattern분석
(5) 결과
5.1 Utterance-based Fluency in L2 Speaking Interactions
총 14,582 utterances = 각각의 참여자가 평균 583.3의 발화를 함
1) 평균적으로 봤을 때 min가 237에서 max가 992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봐서 학생들 마다 큰 차이를 보였다.. Task가 turn taking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개인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2) 참여자들이 sentence-level utterance 보다는 word-level utterance에 더 의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생들의 상당 수가 sentence-level utterance를 하는 것을 어려워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sentence-level에서 최소가 4 최대가 701의 경우인 것으로 보아 학생들 간의 차이가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정규 교육과정의 골이 문장 발화를 통한 기본 의사소통 능력 강화인데 학생들이 word-level utterance에 더 의존하는 것은 문제라고 보인다.
=> Higher L2 fluency를 가진 참여자들이 더 많은 sentence-level utterance를 했다는 것을 볼 때 참여자들의 L2 fluency가 개개인 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5.2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 in L2 Speaking Interactions
총 6,396의 sentence-level utterances를 분석
Top 4는 1) transitive, 2) intransitive stative, 3) intransitive resultative, 4) intransitive motion
=> 이 top 4는 전체 문장 발화에 95.6%를 차지한다.
- 초기 학습자들이기 때문에 L1학습자들도 같은 패턴을 보인다. 그렇기에 L2도 비슷한 패턴을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 다중 회기 분석을 통해 ASC 빈도수가 올라갈수록 sentence-level utterance의 빈도수도 올라가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Transitive construction만 유의미하게 나옴. (Figure 2)
5.3 Usage Patterns of Transitive Construction in L2 Speaking Interactions
1) nominal [V + NP] (e.g., I do a ball) (가장 많음, 약 80%)
2) infinitive [V + to V] (e.g., I want to play) (2등)
3) gerundive [V + V-ing] (e.g., She like eating ice cream) (4등)
4) clausal [V + that/wh-clause] (e.g., I think that’s okay) (3등)
다중 회기 분석을 통해 Transitive construction의 빈도수와 complementation의 빈도수를 했을 때 nomial만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준다. 즉, 참여자들은 transitive construction의 빈도가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nominal pattern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을 나타난다.
또한 nominal의 사용을 볼 때 참여자들마다 단계별 사용을 보여준다. Nominal만 사용하는 사람은 infinitive를 사용하지 않는다거나 그 아래의 것들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
(6) 결론 및 제언
RQ1의 대답:
같은 proficiency level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참여자들은 다른 정도의 L2 English fluency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가장 낮은 발화를 한 참여자와, 가장 많은 발화를 한 참여자의 발화 차이가 4배 이상 났다.)
RQ2의 대답:
4개의 constructions (transitive, intransitive stative/resultative/motion)가 전체 발화의 약 95%를 차지함
그리고 그중 transitive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학생들에게 노출이 된 영어 문장들의 대부분이 transitive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L1의 학습 패턴과 마찬가지로 학습자들이 노출이 된 영어문장들 대부분의 경우 쉬운 문장이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그대로 답습을 한다면 빈도면에서 쉬운 문장을 발화하는 경향성을 보이게 된다.
RQ3의 대답:
Transitive construction의 사용에서 complement로 nominal pattern이 가장 많이 사용이 되었다.
그리고 다른 complement를 사용하는 것이 참여자들은 L2 development stage에 따라서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는 추측을 할 수 있다.
제언
1) 같은 반에 같은 proficiency를 가졌지만 L2 English fluency가 높은 학습자들이 있을 수 있으니 그 학생들을 고려하면서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
2) 각각의 construction pattern을 직접적으로 사용해 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3) 다른 complementation patterns을 알려주고 학생들에게 form-meaning mapping을 하게 해야 한다.
한계
1) word-level utterance를 봐야 한다.
2) transitive construction에 너무 치중이 되어있어서 다른 construction을 고려해 봐야 한다.
3) speaking task의 주제와 형태를 바꿔봐야 한다.
4) 횡단적 연구를 진행시켜봐야 한다.
Contents provided by Victor, Post Production by Victor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Emergentism을 한번 알아봤습니다. 특히 Construction Grammar로써 우리가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문법 체계와 문법교육에 대한 생각이 바뀔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다음 주에는 초등영어교육을 한번 정도 더 하려고 합니다.
초등영어교육을 한번 더 하고 그리고 영어평가 논문을 리뷰하고 시즌 1을 종료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저희가 이해하고 있는 논문을 포스팅으로 남깁니다.
만일 오타나 표현 실수, 분석 실수 등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