팟캐스트에서 공지드렸듯이 이번 포스팅부터 학술지 전체 리뷰보다는
팟캐스트 회차에 맞춰 주제를 선정하고 한 주에 하나의 논문을 리뷰하게 됩니다.
11월 4일, 11일 2편의 주제는 초등영어교육으로
학회는 한국 초등영어교육학회입니다.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5708
정보 텍스트를 활용한 초등 영어-음악 통합 수업의 효과에 대한 연구
Author: 이지윤, 김혜리
Key Words: 음악 정보 텍스트(music informational texts), 초등영어(primary English), 영어-음악 내용 통합(integrating music into English instruction), 통합 학습(integrated learning)
(1) 연구 종류
혼합 연구 (mixed-method)
(2) 연구 Main Theme
-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영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총괄 목표
1) 타 교과와의 연계 학습을 통해 융합적인 사고 능력을 배양하는 것
2)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영어로 표현된 정보를 수집, 분석하며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역량”제시
- 영어와 내용 통합
영어 수업에 타 교과 내용을 통합해 내용을 배우기 위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영어를 사용(Ellis & Brewster, 1991), 학습자에게 충분한 목표어 입력과 활용의 기회를 제공하여 실제성 있는 맥락에서 목표 어를 사용하는 경험 제공(배지영, 우길주, 2009).
- 초등 고학년 학습자
1) 중학년 학습자들에 비해, 교과서에 포함된 노래와 찬트에 대한 선호도가 비교적 낮음(홍선호 외, 2010)
2) 교과서에서 단원별로 제시되는 의사소통 기능을 노래로 구성하여 부르는 음성 언어 중심(김정렬, 고여림, 2008)의 음악-영어 통합수업 기피
- 정보 텍스트와 영어교육
학생들이 읽을 수 있는 아동 문학에서 학과목의 내용을 포함하 고 있는 장르로 대체로 내용을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설명 문체 텍스트로 보는 경향이 있다 (Tunnel et al., 2008).
→초등 고학년 영어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서는 문맥에서 음악 관련 내용이 제공되는 학습 자료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
KEY 참고문헌
홍선호, 나서영, 권윤희. (2010). 초등학생들의 영어 노래와 챈트에 대한 선호도 연구. 한국 초등교육, 21(1), 135-146.
김정렬, 고여림. (2008). 초등학교 영어, 음악 내용 중심 통합 수업의 효과. 영어교과교육, 7(2), 131-152.
Ellis, G., & Brewster, J. (1991). The storytelling handbook: A guide for primary teachers of English. Penguin English.
배지영, 우길주. (2009). 내용 중심 영어, 미술 통합 학습의 초등교실 현장 적용 연구. 교과교육학 연구, 13(3), 531-552.
(3) 연구 문제
RQ 1 영어-음악 통합 수업에서 초등 아동들의 영어 학습 방법의 변화 및 이에 따른 효과는 어떠한가?
RQ 2 초등영어에 음악 내용을 통합하는 수업은 참여 아동의 내용 통합에 대한 인식과 음악 지식 확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4) 연구 설계
4.1 참여자
D시에 위치한 J초등학교 6학년 1개 반 20명(남녀 각 10명), 제1연구자가 음악 교과 전담을 맡고 있는 학급. 학생들이 영어 수업에서 재미없는 활동으로 노래(9명, 45%)와 찬트(5명, 25%) 언급
4.2 수집 방법
1) 수업 설계
음악과 영어 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주 2회씩 총 12주 동안 24차시(1차시는 40분). 수업은 준비, 표현 및 성찰.
- 읽기 활동
듣고 따라 읽기(교사가 소리 내서 읽기, 오디오북, 인터넷 유튜브 동영상 등), 모둠별로 학생들이 극화 방식으로 읽기. 텍스트는 음악 내용을 포함하며, 이야기는 학생들의 삶과 연관된 문화적 실제성이 반영되어 있고, 삽화가 내용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것으로 선정
- 쓰기
텍스트 활용 및 반응 쓰기
2) 자료 수집
사전·사후 설문, 수업 활동 녹화, 수업 소감문, 면담, 쓰기 자료, 사전·사후 어휘 검사 및 교사 일지.
4.3 분석 방법
- 사전, 사후 어휘 검사: t검정 비교
- 질적 자료: 연구진이 교차 검토하여 코딩, 코딩 내용 범주화
(5) 결과
RQ 1. 영어 학습 방법의 변화 및 효과
1) 어휘 학습 방법의 변화 및 어휘력 향상: ‘추론하기(자신들의 배경지식 및 글과 삽화의 관계에서 추론)’와 ‘범주화하기(여러 어휘를 대표할 수 있는 핵심 어휘 하나를 상위 어휘로 선정하고 이에 속할 수 있는 어휘를 모으는 어휘 범주화하기 활동)’ 세 권의 텍스트 모두 사후 어휘 검사의 평균값이 사전 어휘 검사의 평균값보다 15점 이상 높게 나타남. 중위 학습자들의 어휘 향상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남 -> 어휘 학습에 대한 부담이 감소하고 어휘력 향상
2) 언어 기능 간 통합으로 발화 향상: ‘읽기를 입력으로 하여 말하기를 통합한 음성 언어 발화(읽기를 기본으로 한 말하기 통합 활동은 학생들의 언어 수준과 관심사에 따라 텍스트 표현을 활용하는 수준과 범위가 다양)’ 및 ‘읽기와 쓰기를 통합한 문자 언어 발화(짝과 함께 텍스트에서 쓰기에 활용하고 싶은 장면을 고른 다음 원하는 형식으로 요약)’ / 글쓰기의 소재와 모델을 제공하여 어구에서 문장 수준의 쓰기로 확장하는 쓰기 발화 능력 향상
RQ 2. 내용 통합 영어수업의 효과
1) 내용 통합 영어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변화: 영어수업에 음악 내용을 통합하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 타 교과와의 통합 수업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
2) 음악에 대한 지식 확장: ‘새로운 악기에 대한 관심 유발(예: 밴조, 우쿨렐레)’과 ‘장르 및 연주 형식에 대한 이해(Gustav Mole의 생애를 통하여 다양한 음악 장르 및 연주 형식이 소개되는 The Musical Life of Gustav Mole을 읽은 후 채민이는 재즈에 대해 관심’
Contents provided by Emma, Post production by Victor
디지털교과서 및 번역기 활용 쓰기 활동이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쓰기 및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 김인옥
Key Words: 디지털교과서(digital textbook), 번역기(translator), 자기 주도적 학습(self-regulated learning), 영어 쓰기(English writing), 영어 학습 태도(attitudes towards learning English)
(1) 연구 종류
혼합 연구(mixed-method)
(2) 연구 Main Theme
- 디지털교과서(2015 교육과정 개정)및 전자 번역(2000년대)이 영어학습에 본격적으로 활용됨
- 새로운 디지털교과서가 보급된 지 얼마 되지 않았으며 활용도 현황에 대한 공식적인 보고는 아직 이루어진 것이 없으며 교사나 학생의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는 낮은 편임
-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정보와 활용 방법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이것의 효율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
- 국내 초등영어학습에 번역기 활용을 사용한 맥락을 연구한 것이 거의 없음
KEY 참고문헌
Stapleton, P., & Kin, B. (2019). Assessing the accuracy and teachers’ impressions of Google Translate: A study of primary L2 writers in Hong Kong.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56, 18-34.
Lee, S-M. (2019). The impact of using machine translation on EFL students’ writing.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32(1), 157-175.
(3) 연구 문제
- RQ1. 디지털교과서와 번역기(파파고)를 활용한 영어 쓰기 활동이 6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 RQ2. 디지털교과서와 번역기를 활용한 영어 쓰기 활동이 6학년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4) 연구 설계
4.1 참여자
국립 초등학생 6학년 40명(실험반 20, 통제반 20)
4.2 수집 방법
1) 사전·사후 쓰기 검사지(어구 및 문장 쓰기, 대화문 완성하기 등)
2) 단원별 쓰기 활동지(어구 쓰기 활동지, 문장 쓰기 활동지)
3) 자기 주도 학습 설문지(구인 6개: 학습목표와 계획 세우기, 영어 학습 흥미도, 학습전략 4개의 사용)
4) 교사의 수업 관찰일지 및 연구자의 참관 기록
4.3 분석 방법
- 사전 사후 t검정 비교
(5) 결과
RQ1. 디지털교과서와 번역기(파파고)를 활용한 영어 쓰기 활동이 6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 사전 사후 쓰기 검사 t검정 비교+질적 분석: 유의미한 결과 차이 있음(p.165, 표 1; p.167, 표 4)
- 사전 사후 쓰기 과제 t검정 비교(번역기 사용)+질적 분석: 유의미한 결과 차이 있음(p.165, 표 2; p.169, 표 5)
- 사전 사후 쓰기 검사 수준별(상중하) t검정 비교: 중, 하위 그룹에서 사전 사후 유의미한 차이 있음(p.166, 표 3)
*쓰기 수준이 낮은 학생일수록 2차 쓰기에서 더 빈번한 수정과 큰 변화를 나타내어 하위그룹 학생들이 디지털교과서 학습과 번역기 사용에서 가장 큰 도움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RQ2. 디지털교과서와 번역기를 활용한 영어 쓰기 활동이 6학년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
는 영향은 무엇인가?
- 구인 6개(학습목표와 계획 세우기, 영어 학습 흥미도, 학습전략 4개의 사용) 중 스스로 학습목표와 계획 세우기와 전략 1(교사, 동료)에게 질문하기가 사전 사후 유의미한 변화 없음(p.170, 표 6)
RQ3. 디지털교과서와 번역기를 활용한 영어 쓰기 활동에 대한 참여자들의 소감은 어떠한가?
- 디지털교과서 학습에서 가장 좋았던 점으로는 철자 학습에 용이한 점, 쓰기 연습에 효과적인 점, 듣기 공부가 가능하다는 등의 인지적인 면이 있었고, 재미있다는 점과 스스로 공부 가능하다는 등의 정의적 영역과 학습태도적인 면이 발견됨
- 디지철 교과서 사용의 어려운 점은 기술적인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이 있음
- 번역기 사용은 하위 수준의 학습자들이 상위 수준 학습자들에 비해 더 빈번한 사용하는 경향
- 연구자 및 교사의 정성적 분석 결과
- 서책형 교과서의 지면만으로 부족했던 쓰기 활동을 원하는 만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학생들이 충분한 쓰기 연 습을 할 수 있었다는 것
- 자신의 수준에 맞는 활동을 먼저 하고 이후 다른 수준의 활동을 하면서 자기 주도적인 쓰기 학습을 하였다는 점
- 번역기 사용 시 발견된 오역을 교사에게 물어보고 스스로 바꿔보려 시도하는 등 비판적인 사고와 초 언어적인 능력을 활용하는 유익한 태도를 보임
- 실험 수업 초기에는 학습 도구 활용에 대해 교사의 도움이 필요하였으나 점차 사용법에 익숙해지면서 흥미 있게 활용하는 자기 주도적 태도를 보임
Contents provided by Duncan, Post production by Victor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다음 11월 주제도 역시 초등영어교육입니다.
12월 주제는 영어평가 관련해서 하려고 계획 중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저희가 이해하고 있는 논문을 포스팅으로 남깁니다.
만일 오타나 표현 실수, 분석 실수 등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