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교육/최.영.수. 영어교육 솔루션 프로젝트

최신 영어교육 연구 동향 KATE(한국영어교육학회)편 - Volum 75. Number 2. Summer 2020 (3)

by 매드포지 2020. 8. 20.
728x90
반응형

팟빵에 팟캐스트 주소입니다.

http://www.podbbang.com/ch/1777152

 

최.영.수.: 최신 연구로 살펴보는 영어교육과 수업

연구없이는 좋은 수업을 만들 수 없다. 최신 영어교육 연구와 수업의 이슈를 살펴보는 최영수입니다. 최신 연구들을 살펴보고 그 연구주제와 수업에서의 적용점과 개선점을 찾습니다. 리뷰하는

www.podbbang.com


Effects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 on the Use of the English Indefinite Article in EFL Learners’ Writing

 

Author: Jeong-Won Lee, Kyeong-Ok Yoon

Keywords: corrective feedback, direct written feedback, metalinguistic explanation, indefinite article

 

 

(1) 연구 종류

양적 연구

 

(2) 연구 Main Theme:

- Importance of Feedback

Con

Truscott (1999, 2007, 2010) CF가 학생들의 습득에 해롭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explicit knowledge (즉, 결과물)에서는 accuracy (정확성) 도움이 되지만 Implicit knowledge에는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

Pro

Ferris (1999, 2004, 2006) CF가 학생들의 습득 중 accuracy (정확성)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quality of correction에 따라서 그 효과는 다를 수 있다.

CF는 학생들의 Awareness of Knowledge를 높여주고, Explicit Knowledge를 Internalize (내재화)시켜 주고 정확도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몇몇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인식에서 교사가 주는 CF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한다.)

 

- Written Corrective Feedback

Direct Vs Indirect CF, Focused CF Vs Unfocused CF (Focused CF는 한 에러만 고치고 나머지는 무시, Unfocused CF는 모든 에러 고침)

계속해서 연구가 진행이 되지만 상반되는 결과들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음.

 

- Metalinguistic Explanation (ME)

Indirect Feedback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음. 학생들이 문법적 설명을 듣거나 봄으로써 자신의 에러를 Noticing 하여 explicit knowledge를 쌓도록 도와주는 것. -> self-correction을 유도함 Ellis (2013)

ME가 효과적이나…. 학생들의 Explicit Knowledge를 향상하는 것은 분명 하나, Implicit Knowledge가 향상이 되었는지는 알 수 없었고 그것은 DCF도 마찬가지였다.

결론적으로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그 효과성은 계속 다른 결과를 보여준다.

 

- The Indefinite Article and Different Types of Teacher Feedback

In general, it is known that the grammatical feature of English articles is syntactically simple but semantically complex (Bitchener & Knoch, 2008, 2010). (통사론 적으로는 쉬우나 의미론 적으로 복잡하다.)

그리고 의미론 적으로 복잡하다면 학습자들이 이 관사를 습득하고 사용하는 데 있어서 cognitively demanding load가 초래한다.

그리고 그것의 습득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Feedback의 타입에 따라 효율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 하지만 여전히 implicit knowledge로 가지는 못한다.

 

KEY 참고 문헌:

Sheen, Y. (2007). The effect of focused written corrective feedback and language aptitude on ESL learners’ acquisition of articles. TESOL Quarterly, 41(2), 255-283.

Shintani, N., & Ellis, R. (2013). The comparative effect of direct written corrective feedback and metalinguistic explanation on learners’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of the English indefinite article. Journal of Second Language Writing, 22(3), 286-306.

 

(3) 연구 문제 (Research Question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ir knowledge of the English indefinite article depending upon the two different types of feedback: direct corrective feedback (DCF) and metalinguistic explanation (ME)?

(2가지 피드백에 따라서 학습자의 Indefinite article(부정관사)에 대한 지식에 차이가 있는가?)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ir use of the English indefinite article in writing depending upon the two different types of feedback?

(쓰기에서 2가지 피드백의 타입에 따라서 학습자의 사용에 차이가 있는가?)

 

(4) 연구 설계:

4.1 참여자 (Participants)

58 대학생 1학년 – 대학 영어 수강생

(2개의 natural science class 각각 22명(44) + One Liberal arts 17명 – 3명 이탈자 = 58명)

Two experimental groups – DCF = 20명, ME = 17명/ One control group = 21

3 group은 homogeneous – pretest explicit grammar knowledge, Implicit grammar knowledge + TOEIC score (average= 757) = intermediate-high

 

4.2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 Error correction tests (ECT) (20분, explicit grammar knowledge 측정)

Shintani and Ellis’ ECT (2013)에서 약간 바꿈 – 각각의 18 문장에 grammar error가 하나씩 있음, 그중 8개가 article에 대한 error 그리고 나머지는 일반 문법

학생들에게 오류를 찾고 고쳐보도록 하게 함

- Narrative Writing Task (Implicit grammar knowledge 측정)

Two story-telling pictures – 6개의 사진을 설명하는 것 (30분)

Task 순서: ECT1차 - Story one(A Surprise) – writing – (2주 후) native speaker에게 correction을 받고 5분간 그 correction을 봄 (DCF는 written form으로 제공, ME는 written form and oral review), 같은 이야기를 다시 쓰기 (Rewrite) – Story two (The table that got smaller) – ECT 2차 (control group은 그냥 쓰기만 함) (TABLE 1 참조)
(두 번째 이야기 설명하기에서 학생들의 error correction을 통해 체득이 됐는지 보고 싶음)

t-testsand a series of repeated-measures ANOVAs

Writing scoring Tool

(5) 결과 (연구 문제에 대한 대답):

- Effects of Two Types of Feedback on Knowledge of the English Indefinite Article

Explicit Knowledge에 대한 Group 간 Time-group interaction이 유의미하지 않았음. 하지만 Time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음.

두 종류의 Feedback 모두 ECT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음.

이 결과는 DCF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과는 다른 점을 보인다. 이는 참여자의 수준이 기존의 연구들보다 높아서 일지도 모르며 기존 학습자들의 grammar learning context가 본 연구의 참여자만큼 Intensive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게다가 ME group이 control group도 post-test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

더군다나 pre-test보다 post-test에서 참여자들의 점수가 유의하게 차이가 났다. 이는 어떤 형태로던 Instruction이 되었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학습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물론 practice effect일지도 모른다.) (TABEL 3)

 

- Effects of Two Types of Feedback on Use of the English Indefinite Article in Writing

Implicit knowledge도 역시 group effect, time-group interaction effect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Time에서는 유의미했다.

Control group을 제외하고 t-test에서 DCF, ME group모두 First와, revised에서 모두 유의미함을 보인다. 그 유의미함에서 DCF가 조금 더 높다.

ECT에서도 이러한 경향성을 보인 것으로 보아서 ECT에서 참여자들이 Explicit knowledge를 습득해 이 Writing에서 사용을 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DCF에서 참여자들이 훨씬 부정관사를 더 정확히 (accurate)것을 t-test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이는 ESL상황이냐 EFL 상황이냐에 따라 다른 것일 가능 성도 있다.

새로운 Writing에서는 group, time, group-time interaction모두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revised에서는 잘하였지만 참여자들이 다른 주제로 글을 쓸 때에는 적용이 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해 준다. 이 결과는 참여자들이 새로운 주제로 글을 쓰기 위해서 너무 바빴기 때문에 부정관사 사용을 성공적으로 모니터 하지 못한 것 같다.

 It can be safely said, accordingly, that the two ways of error correction treatment was conducive to enhance the learners’ explicit knowledge of the indefinite article in the short term with DCF being more effective than ME. In the long run, however, their explicit knowledge of the target grammar feature they had achieved through the two types of treatments might fail to develop into implicit knowledge.

(두 가지의 error correction이 학습자들의 부정관사에 대한 explicit knowledge를 짧은 기간에 증진을 시켰다. 그리고 DCF가 ME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두 가지의 error correction 모두 explicit knowledge를 얻었지만 implicit knowledge로 발전시키지 못했다.

(6) 결론 및 한계

어떠한 CF 타입을 막론하고 L2/EFL writing class에서는 학습자의 타깃 문법 요소 습득을 위해서는 이롭니다. (explicit knowledge)

 

- 한계

설문조사 인터뷰를 해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거나, 혹은 , feedback의 양과 질에 관련된 변수, 학습자 변수를 더 살펴봐야 한다.

Contents Provided by Victor, Post Production by Victor


Multiliteracies in EL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Pedagogy in Multilingual Classrooms of Southeast Asia

 

Author: Alvin Pang

Keywords: curriculum implementation, multilteracies pedagogy, visual literacy, multimodal texts

 

(1) 연구 종류:
정성적 연구 방법론, 교육과정 개선안 연구


(2) 연구 Main Theme:

- 중등 교육기관에서 학생들의 다중 문해력 향상(semiotic 범주 확대)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개선 필요성

1) 기존 교육 방법은 대부분 인쇄매체에 의존 경향이 있음

2) 교실 안뿐만 아니라 교실 밖 경험에 대한 고찰이 적음

교육과정 개선안 연구(curriculum reform), 수업실행 연구(practitioner researcher)

 

- 이론적 배경:

1) 다중 문해(multiliteracies):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 및 기술의 발전에 의한 시청각 다중 매체에 대한 적극적 수용

2) 다중 문해의 교육철학(The pedagogy of multiliteracies): New London Group(1996)에 의해 제안된 4단계(p.152, Table 1) – Experiencing -> Conceptualizing -> Critically Analyzing -> Applying (순차적이거나 위계적이지는 않음)

3) Contextualisation, Learner-centredness, Learning-focused interaction, Integration, Process orientation, and Spiral progression: CLLIPS

4) raising Awareness, structuring Consolidation, facilitating assessment for Learning, enabling Application, guiding Discovery, instructing Explicitly: ACoLADE

 

KEY 참고문헌:

Ministry of Education (MOE), Singapore. (2020). English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syllabus: Secondary express course and normal (academic) course. Singapore: Author.

New London Group (1996). A pedagogy of multiliteracies: Designing social futures. Harvard Educational Review, 66(1), 60-92.


(3) 연구 문제 (Research Questions):

다중 문해교육과정이 어떤 효과가 있을까?


(4) 연구 설계:
4.1 참여자 (Participants)
교사 2명(필리핀-ESL,


4.2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 데이터 수집

보고서: 교사들이 다중 문해 교육철학이 반영된 교육과정을 교실수업 적용 후 내용 및 소감 보고

수업개선 및 참여: 수업에 다중매체 동원(비디오, 포스터 등 시각적 자료)

A교사 교육과정 및 수업 개선(기준-p.156, Table 2, 적용 예시 적용 예시-p.158, Table 3)

B교사 교육과정 및 수업 개선(see-think-wonder)

 

- 분석방법

수업활동 중 학생들의 의미 교환 및 의사소통을 세 기능(ideational, interpersonal and textual)들로 분석

교사들 인터뷰에서 중요점 인용

 

(5) 결과 (연구 문제에 대한 대답):

- 4개의 다중 문해교육철학 구성요소와 6개의 교수 과정이 미치는 효과

- 다중 문해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효과는?

1) 반성적 사고와 다문화적 삶 및 정체성에 대한 재생산을 통해서 학생들 스스로 경험, 개념화, 및 비판적 분석력 증가

2) 다중 문해력 향상을 위한 수업활동 및 과업 제시

3) 의사소통/의미 협상 실행의 수업에서 실생활에 직접적인 수업으로 변화

Contents Provided by Duncan, Post Production by Victor


장마가 끝나고 무더운 여름이 왔습니다.

건강 유념하시길 바랍니다.

 

 

저희가 이해하고 있는 논문을 포스팅으로 남깁니다.
만일 오타나 표현 실수, 이론적 배경 설명 실수 등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