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교육/최.영.수. 영어교육 솔루션 프로젝트

최신 영어교육 연구 동향 ALAK(응용언어학회)편 - 36권 1호 2020 (1)

by 매드포지 2020. 7. 3.
728x90
반응형

본 포스팅은 Ducan, Emma, Victor 3명의 공동 프로젝트로 합의하에 이 블로그에 게재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ALAK (The Applied Linguistics Association of Korea) 응용언어학회편 입니다.

KATE와 더불어 한국 영어교육의 양대산맥처럼 있는 ALAK입니다.

 

응용언어학이라는 엄청 큰 이름을 걸고 있지만 응용언어학에만 초점이 맞춰진 저널은 아닙니다.

계속해서 팟캐스트를 하기 위해서 연습 중입니다. ㅋㅋ

이번 Summer의 학술지가 나오면 3개 정도 학술지의 논문들을 리뷰하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기대해 주세요(?!)

 

여하튼 이번 2020년 36권 1호 ALAK 편은 6개의 논문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우선 이번 포스팅에서는 앞의 3개에 대하여 리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Connecting Lexical Bundles and Moves by Korean EAP Students at Different Academic Levels

Author: Ji-yoon Hong

Keywords: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EAP), bundle-move connection, L2 writing development, learner corpus

 

(1) 연구 종류

코퍼스 연구(Corpus)

 

(2) 연구 Main Theme

A. Lexical Bundles: 3 단어 혹은 그 이상의 어휘 묶음(예시: is likely to)

KEY 참고문헌: Hyland, K. (2008). As can be seen: Lexical bundles and disciplinary variatio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27(1), 4–21.

 

B. Rhetorical moves: 특정 장르 내에서, 특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행위

KEY 참고문헌: Kanoksilapatham, B. (2003). A Corpus-based investigation of scientific research articles: Linking move analysis with multidimensional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eorgetown University, Washington, D.C.

 

C. CARS model: Create A Research Space (CARS) model

Move 1, Establishing a territory (연구분야)

Move 2, Establishing a niche (연구 틈새시장)

Move 3, Presenting the present work (연구 방향 (이 연구에서)

KEY 참고문헌: Swales, J. M. (2004). Research genres: Exploration and applications.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연구 문제

1. How do introductions of published RAs, and those of two groups of student term papers differ in the use of the lexical bundles in each move/step?

출판된 논문과 두 그룹의 학생들이 쓴 기말 과제 보고서의 서론 부분에서, 각 행위(move) 안에 사용된 어휘 다발(Lexical bundles) 사용이 어떻게 다른가?

2. How do introductions of published RAs, those of two groups of student term papers differ in the use of the lexical bundles to fulfill the rhetorical functions in each move?

출판된 논문과 두 그룹의 학생들이 쓴 기말 과제 보고서의 서론 부분에서, 각 행위(move) 안에 수사학적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어휘 다발(Lexical bundles)들이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나타나는가?

 

(4) 연구 설계

A. 코퍼스(Corpus) 설계

a. L1(영어): 언어 교육 관련 저명한 6개 저널의 서론(Introduction) 200개

b. L2-1: 영어교육 전공의 대학원생 1학기 차가 작성한 기말 과제 보고서의 서론 94개 (lower-advanced)

c. L2-2: 영어교육 전공의 대학원생 4학기 차가 작성한 기말 과제 보고서의 서론 98개 (Upper-advanced)

 

B. Task design

a. 어휘 다발(Lexical bundles) 찾기: 4개의 단어들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를 찾음 → 기능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함(1. Discourse organizers 담화 표시-in the next section, 2. Referential bundles 가리키는 말-one of the most, 3. Stance bundles 입장 표명-are likely to be)   

b. 행위(move)와 단계(steps) 분석: Swales’ (1990) CARS model 활용(move 1-3), 각 행위(move) 별로 세부 단계(steps) 구분

 

C. 통계

카이제곱 검정: 그룹 간에 비율(proportion)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

 

(5) 결과

A. Lexical Bundles Exclusively Found in Each Move/Step in the Three Corpora 세 개의 말뭉치 내에서, 각 행위나 단계 내에서 독점적으로 발견되는 어휘 다발(Lexical bundles)

  a.  L1에서는 쓰이지만 L2에서는 안 나타나는 게 존재 (e.g., given the importance of in claiming centrality, the question of whether in making topic generalization(s) of increasing specificity, is known about the in establishing a niche).

  b. L2가 쓰는데 L1에서는 안 나타나는 게 존재 (e.g., been one of the in claiming centrality, been considered as a in making topic generalization(s) of increasing specificity, there has been a in establishing a niche).

 

B.  Functional Distribution of Lexical Bundles Identified in Each Move in the Three Corpora 세 개의 말뭉치 내에서, 각 행위별로 나타나는 어휘 다발의 분포

  a. Functional Distribution of Lexical Bundles Identified in Move 1 행위 1에서 나타난 어휘 다발의 기능적 분포

      i. L1과 L2-1, L1과 L2-2에서 types와 tokens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 남

      ii. L2-1과 L2-2 비교 시, token에서 유의미하게 차이 남: 낮은 수준의 저자들이 어휘 다발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향 있음

 

  b. Functional Distribution of Lexical Bundles Identified in Move 2 행위 2에서 나타난 어휘 다발의 기능적 분포

      i. L1과 L2-1에서 types와 tokens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 남: 낮은 수준의 저자들이 특히 stance 입장표명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

  c. Functional Distribution of Lexical Bundles Identified in Move 3 행위 3에서 나타난 어휘 다발의 기능적 분포

      i. L1과 L2-1에서 types와 tokens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 남

      ii. L1과 L2-2에서는 유의미하게 차이 나지 않음: 높은 수준의 학습자들은 어휘 다발을 습득한 것으로 보임, Move 1이나 2보다 Move 3을 더 먼저 배우는 경향

 

(6) 제언 및 한계

  A. 결론

    a. 한국인들이 유독 많이 사용하는 어휘 다발이 있고, 영어권 저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어휘 다발이 있다.

    b. 한국인 화자들을 대상으로, 각 행위가 지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휘 다발이 있음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

 

  B. 한계

   a. 더 커다란 말뭉치를 구성할 것

   b. 다른 학습자들을 비교하기보다, 한 학습자의 변화를 살펴보는 연구는 어떨지

 

Contents provided by Emma, Post Production by Victor


2. Introduction to Translingualism: Some Teaching Implications for Korean Teachers of English

Author: Jae-hyun Im

Keywords: translingualism, translanguaging, translingual practice, discourse analysis

 

(1) 연구 종류

질적 연구

Translingualism에 대하여 소개하는 논문이기 때문에 일상적인 연구라기보다는 여러 가지 자료들을 통해 Translingualism의 예를 찾고 그 예들을 통해 이 사조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고찰에 대한 연구이다.

 

(2) 연구 Main Theme

  A. Translingualism

  언어를 보는 사조의 변화 Monolingual -> Bi/multilingual -> Translingual

  언어 습득은 독립된 별도의 언어를 system으로 획득하는 일종의 능력체계가 아니라 언어 사용 공동체/환경/화자(들) 간의 관계 안에서 가용 가능한 자원을 활용하고 맥락과 정체성을 동원하여 언어를 사용하는 정체정을 이동시키는 과정으로 보는 것

 

KEY 참고문헌:

Canagarajah, S. (2013a). Translingual practice: Global Englishes and cosmopolitan relations. New York, NY: Routledge.

Canagarajah, S. (2013b). Literacy as translingual practice: Between communities and classrooms. New York, NY: Routledge.

Li, W. (2018). Translanguaging as a practical theory of language. Applied Linguistics, 39(1), 9-30.

 

(3) 연구 문제

1. How can Korean speakers of English be included in the translingualism approach? (어떻게 한국인 영어화자들을 translingualism 접근법으로 볼 수 있을 것인가?)

 

2. What are Korean English speakers’ translingual strategies? (이들이 사용하는 translingual 담화 전략은 무엇인가?)

 

3. What can Korean teachers of English learn from translingualism? (교사들은 이를 통해 translingualism에서 어떤 것을 배울/활용할 수 있을까?)

 

(4) 연구 설계

  A. 참여자

     특정하지 않은 (비디오 클립을 통하여 한국에서 사용되는 Translingualism의 예들을 찾아봄)

 

  B. 데이터

     무한도전, 다큐멘터리 3일 등 예능에서 나온 구어 데이터

 

  C. 수집 방법:

     비디오 클립의 구어에서 나온 해당 Strategy가 사용되는 것을 발췌 후 전사 및 분석

 

  D. 분석 방법:

     a. Conversation analysis (Lester & O'Reilly, 2019): 대화분석

     b. Translingualism (Canagarajah, 2013a; W. Li, 2019): 트랜스 링구 얼 리즘 이론적 틀

     c. 담화 분석: 위 두 방법과 개념을 적용하여 대화 참여자들의 turn-takings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음

      - 분석대상: negotiation strategies (Envoicing, recontextualization, interactional, and entextualization)

 

(5) 결과

  A. Non-Native Speaker Status as a Strategy: 비원어민 영어화 자임을 드러내고 맥락을 재형성하는 전략

  B. Mutual Interactional Efforts and Embodied Literacy Practice: 상대방의 반응이나 이해정도 등을 파악하고 반복, 추임새, 몸짓 등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활용 가능한 리터러시 전략을 충분히 동원하여 사용하는 것, 이를 통해 언어적으로 부족한 것이 있더라도 보완적 작용을 기대할 수 있음

  C. English and Korean as Lingua Franca and Code-meshing: 영어와 언어를 섞어서 사용하는 것을 코드 간의 전환이나 불완전한 것이 아니라 일종의 엮음 전략으로 보며, 공용어로 활용하려는 양방향 노력으로 보는 것

  D. Community-Specific Language as an Identity Marker: AAE(흑인영어)처럼 영어가 고유의 공동체에서 사용되어 새로운 언어처럼 발현되는 것을 차용하는 전략 (들어내서 사용 – languaging에 일부)

  E. 세부적인 언어적, 문법적 정확성이 아니라 의사소통 목표에 이르는 교육으로 시야를 전환하는 것, 언어가 사용되는 커뮤니티에 대한 이해를 기르는 것

 

Contents provided by Duncan, Post Production by Victor


2. Reconsidering Task Complexity Through Different Planning and Proficiency in L2 Written Tasks

Author: Nayoung Kim

Keywords: task complexity, trade-off hypothesis, cognition hypothesis, pre-task planning online planning, proficiency, CAF L2 written tasks

 

(1) 연구 종류

양적 연구

 

(2) 연구 Main Theme

  A. Trade-off Hypothesis (TOH) vs Cognition Hypothesis (CH)

    - 두 이론 모두 잘 짜여고 잘 정리된 과업의 복잡도는 L2 learner's interlanguage의 균형적인 발달을 향상한다.

    - 하지만 과업 복잡도 (Task complexity가 L2 performance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시각을 달리한다.

 

    a. Trade-off Hypothesis (limited capacity processing)

Cf) *Three-way distinction of difficulty: code complexity, cognitive complexity, communicative stress

   Skehan’s (1998, 2009) TOH

    - 더 복잡한 과업이 IL (interlanguage)의 complexity and accuracy를 동시에 향상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limited capacity processing 이기 때문이다. (과업이 너무 복잡하면 attention이 한쪽으로 쏠리기 때문이다.)

    - 또한 Planning time은 CAF (complexity or accuracy and fluency)에서 중요한 보상적 전력이 될 수 있다. 

 

    b. Cognition Hypothesis (CH)

Cf) *Three-way dimensional model of different types of factors: cognitive complexity factors, interactive factors, learner factors

    Robinson’s (2001) CH

      - 더 복잡한 과업이 IL (interlanguage)의 complexity and accuracy를 동시에 향상한다.

      - Planning time은 CAF (complexity or accuracy and fluency)에서 별 도움을 주지 않는다. (because task complexity along the resource-dispersing dimensions involves performative and procedural demands on cognition, not cognitive demands.)

    

= 기본적으로 이 두 이론은 Spoken Language - CLT에서 사용이 됩니다.

 

KEY 참고문헌:

Gilabert, R. (2007). The simultaneous manipulation of task complexity along planning time and [+/- here-and-now]: Effects on L2 oral production. In M. Mayo (Ed.), Investigating tasks in formal language learning (pp. 44-68). Clevedon, UK: Multilingual Matters.

(*cf)의 분류가 여기서 나옵니다.) 본 논문과 굉장히 흡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이 연구를 비슷하게 하실 분들은 읽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B. Task complexity [± here-and-now]

    기본적으로 Here-and-Now는 학습자와 가까운 Task를 지칭하고 반대인 There-and-Then은 학습자와 먼 Task를 지칭합니다.

e.g.,) Picture description task

Here-and-Now: Describe with present tense while looking at it

There-and-Then: Describe with past tense without looking at it (while the performance, there is no picture showing)

 

  C. Task complexity manipulated by [± here-and-there] in L2 written tasks

     Spoken English 연구들이 [± here-and-there]로 syntactic complexity와 accuracy가 같이 좋아지지 않았다. 하지만 Written에서는 CH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들을 보인다.

 

KEY 참고문헌

Ishikawa, T. (2007). The effect of manipulating task complexity along the [±here-and-now] dimension on L2 written narrative discourse. In M. Mayo (Ed.), Investigating tasks in formal language learning (pp. 136-156).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D. Task complexity and planning in L2 written tasks

    계속되는 연구들에서 [±Planning]은 그 효과가 Task를 쉽게 만든다는 점이었다.

문제는 이런 planning이 시간을 학습자, 참여자에게 얼마나 주었는지 명시하고 있지 않고 통제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특히나 online planning에서는 더욱이 얼마만큼의 시간을 주었는지 알 수 없다. (이는 Proficiency level, task complexity를 떠나서 고려되어야 한다.)

 

  E. Task complexity, proficiency, and multiple measures in L2 written tasks

     Proficiency Level이 높을수록 CAF가 올라가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어떻게 Proficiency level에 따라서 CAF가 올라가고 그리고 단계별 작용이 어떻게 좋아지는지 연구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리고 단계에 따라서 다른 경과를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Kuiken, Mos and Vedder (2005)에서 보면 task complexity가 accuracy를 좋게 하지만 syntactic complexity는 좋아지지 않았다. Ishikawa (2006)의 경우에는 High proficiency 참여자들이 모든 부분에서 좋아졌다. 또한 이 Proficiency level을 나누는 기준이 비슷한 Task 혹은 시험을 통해 하는 것이 중요하다.

 

KEY 참고문헌:

Kuiken, F., Mos, M., & Vedder, I. (2005). Cognitive task complexity and second language writing performance. In S. Foster-Cohen, M. Mayo, & J. Cenoz (Eds.), Eurosla Yearbook, Vol. 5 (pp. 195-222). Amsterdam: Benjamins.

 

(3) 연구 문제

1. To what extent does assumed task complexity manipulated by [±here-and-now] in relation to different planning (no planning, pre-task planning, and online planning) affect the written performance of Korean college learners of English?

([±here-and-now]으로 과업의 복잡성을 조작한 쓰기 과업에서 다른 종류의 준비 시간 (planning time)과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가?)

 

2. To what extent does assumed task complexity manipulated by [± here-and-now] in relation to L2 proficiency level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affect the written performance of Korean college learners of English?

([±here-and-now]으로 과업의 복잡성을 조작한 쓰기 과업에서 다른 수준의 학습자들과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가?)

 

(4)   연구 설계

  A. 참여자 (Participants)

    General English Language Test (GELT)로 나뉜 대학교 학생들 459명 25개 Classes

    IELTS 시험을 다시 보게 한 후 3~5점 Intermediate level로 분류 (209명)

    5.5~9점 advanced level (250명)

    38명의 데이터는 제거 (incomplete tasks)

 

  B. Task design

    Resource-directing dimension [± here-and-there] and resource-dispersing dimension [± pre-task  planning] + online planning (Figure 1에 표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Two narrative task (Figure 2에 자세하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HNP = [here-and-now] with no planning, HPP = [here-and-now] with pre-task planning, HOP = [here-and-now] with online planning, TNP = [there-and-then] with no planning, TPP = [there-and-then] with pre-task planning, TOP = [there-and-then] with online planning)

 

  C. Pilot study

   88명으로 파일럿 돌림

    a. Lv 2,3 학생들이 적당하다

    b. Fast writing time을 11분으로 정함

    c. 25분의 planning time

    d. PPT로 시간을 카운트 다운함

 

  D. 데이터 분석

    a. Norris and Ortega’s (2009) five different measure of syntactic complexity

      i. Mean length of T-unit (MLT)

      ii. Clauses per sentence (C/S)

      iii. Clauses per T-unit (C/T)

      iv. Dependent clauses per clause (DC/C)

      v.  Mean length of clause (MLC) (General measure of syntactic complexity in this study

 

    b. Accuracy (Local measure rather than Global measure)

      i. Errors per T-unit (E/T)

      ii. Error-free clauses per clause (EFC/C)

      iii. Error-free T-unit per T-unit (EFT/T)

 

     c. Fluency (Speed fluency among breakdown fluency and repair fluency)

       i. Words per minute (W/M)

         - 연구자 본인과 3명의 MA가….. Code 함

         - Syntactic complexity and fluency, the number of clauses sentences, T-unit, dependent clauses and words – two Korean rater

         - Accuracy – Native rater (Two Mas in TESOL)

         - Excluded Errors – Article

             + 관사는 늦은 단계에서 습득이 되기 때문에

             + 한국어에는 관사가 없고 그에 따라 advanced 학습자들도 늦게 습득됨으로

             + 너무 많아서 다른 Error들의 분석이 가려짐으로

 

  E. 통계

    a. t-test for independent variables [± here-and-now]

    b. Two-way ANOVA for proficiency, planning, task complexity

 

(5) 결과

  A. Task complexity and planning (Research Question 1)

TABLE 1: Participants performed [there-and-then] task under no planning condition, their accuracy increased, but no syntactic complexity and fluency.

TABLE 2: Participants performed [there-and-then] task after having pre-task planning time, their accuracy and fluency increased, but not syntactic complexity.

TABLE 3: Participants performed [there-and-then] task while having online planning time, their both syntactic complexity (only except MLC) and accuracy increased, but not fluency.

= the effect of task complexity on syntactic complexity was dependent on planning.

     a.  The [here-and-now] task received the greater benefits of no planning while the [there-and-then] task had the greater benefits of pre-task planning or online planning

     b. [there-and-then] task (more complex task) shows increased syntactic complexity in online planning

    - Complex task with online task support Robinson’s CH

 

  B. Task complexity and proficiency (Research Question 2)

TABLE 4: Intermediate L2 participants performed [there-and-then] task, their accuracy improved

TABLE 5: Advanced L2 participants performed [there-and-then] task, their syntactic complexity (C/S and DC/C) and accuracy improved

= Advanced L2 learners performed [there-and-then] task, their syntactic complexity and accuracy improved.

 

(6) 제언 및 한계

  A. 결론

    a.  Task complexity, at least solely manipulated by the [± here-and-now] variable in L2 writing, may not support Robinson’s theoretical framework, and online planning has a facilitative role in noticing and attending to linguistic forms. – L2 writing에서 complexity를 관여하기 위해서는 다른 요소들을 첨가해야 하는 것 같다.

         i. [± here-and-now] variable은 Task complexity를 조작하기에 약하다

         ii. Robinson이 이야기한 task sequencing을 통해 complexity를 조절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b. In the case of intermediate learners, there was a trade-off effect following Skehan’s TOH.

     c. In the case of advanced learners, however, assumed more complex task elicits attention on the syntactic complexity which following the Robinson’s CH

 

  B. 한계

    a. Lexical complexity was not included

    b. Keystroke-logging data(참여자의 keyboard의 사용을 캡처하는 것, 다른 말로는 keyboard capturing이라고 함) were not used for fluency

    c. 너무 짧은 시간에 함

 

Contents provided by Victor, Post Production by Victor


KATE와 더불어서 계속해서 Task complexity에 대한 논문들이 나오고 있군요.

다음 3개는 2주 후에 올라갑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