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Ducan, Emma, Victor 3명의 공동 프로젝트로 합의하에 이 블로그에 게재합니다.
대학원을 다니면서 가장 힘든 시기는 아마 학기말 Term Paper를 쓰는 시기와
마지막 학기 학위 논문을 쓰는 시간일 것입니다.
항상 논문 주제에 대하여 생각을 하고 있어야 하며 최신 트렌드에 맞게 써야 하기 때문에 읽을 논문은 매 분기마다 쏟아져 나오고 학술지도 많죠 ㅋㅋ
그래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논문 주제와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하여 정리하여 블로그에 게재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자세한 리뷰는 팟캐스트를 통하여 진행을 하려고 합니다. (7월 말쯤?ㅋㅋㅋ 아직 미정)
본 포스팅은 3명의 공동 프로젝트로 앞으로 얼마나 지속이 될지는 모르겠으나.... 힘이 닿는 데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학원생과 교사들의 조금 더 나은 연구와 수업을 위하여...
1. “I actually picked up a physics textbook:” Complexities of the Freedom Principle in Extensive Reading
(Author: Josephine Mijin Lee and Eunseok Ro)
Key words: extensive reading, teaching principles of extensive reading, Freedom Principle, EAP
(1) 연구의 종류
질적 연구
(2) 연구 Main Theme
2.1 Ten Principles of Extensive reading
Day and Bamford (2002)
1. The reading material is easy
2. A variety of reading material on a wide range of topics must be available
3. Learners choose what they want to read
4. Learners read as much as possible
5. The purpose of reading is usually related to pleasure, information and general understanding
6. Reading is its own rewards
7. Reading speed is usually faster rather than slower
8. Reading is individual and silent
9. Teachers orient and guide their student
10. The teacher is a role model of a reader
KEY 참고문헌:
Day, R. R. (2015). Extending extensive reading. Reading in a Foreign Language, 27(2), 294- 301.
- 반박 McLean(2015) a) fluent, sustained comprehension of text as meaning-focused input; b) large volume of material; c) reading over extended periods of time; d) texts that are longer, requiring comprehension at the discourse level
-> 이것들은 모두 교수자의 입장에서 Principle을 정한 것 (Teacher-driven)
-> 학습자에 대한 것들은 reading motivation, text difficulties, involvement of post-reading activities 밖에 없음
-> Principle은 학습자에 관점에서는 거의 없음 + EAP는 더 찾아보기 힘듦
2.2 The Freedom Principle of ER
ER을 할 때 모든 것을 학습자들에게 맡기는 것 (Choosing of reading materials, Period, Activities etc.)
-> Reading Pleasure와 Motivation에 지대한 영향
KEY 참고문헌:
Yamashita, J. (2015). In search of the nature of extensive reading in L2: Cognitive, affective, and pedagogical perspectives. Reading in a Foreign Language, 27(1), 168-181.
(3) 연구 문제 (확실히 떨어져 나와있지 않고 이런 질문들을 이 연구에서 고민해 본다고 쓰여있음)
1. What is the role of the Freedom principle in an EAP context?
2. Do students value such freedom, or do they prefer focusing on a text that is selected by the teacher?
3. Does the principle really motivate them to read more?
(4) 연구 설계
4.1 참여자
4명 (All international students – enrolled the same intermediate academic writing course, ER 수업 들어본 적 없음) – 상품권 줌
Sam: 26 Finnish 남자, 10년 이상 영어공부
Kevin: 24 Korean 남자 (교환학생) 14년 영어공부
Pam: 25 Chilean 여자, 15년 영어공부
Val: 22 Icelandic 여자, 11년 영어공부
4.2 Research context
Intermediate academic writing course이기 때문에 ER classroom의 Post-activity로 Writing
21명 수업 중 4명, 2주에 한 번씩 75분 수업 중 20분 ER 수업에 할당
15분은 읽고 5분은 ER에 따른 Writing을 리뷰함
학생들이 스스로 258권 중 고르게 함 (Teacher가 모니터하고 1~2시간 정도 수업 외에 읽으라고 장려 – 읽으면 Extra Points) (Graded Reader가 대부분, 몇몇 Young Reader 도 포함)
4.3 데이터 수집 및 분석
Focus group을 30분간 비디오 찍음 (Open discussion of their experiences with ER – Main topic Book selection)
모든 Excerpts는 Jefferson’s (2004) convention으로 코딩함.
(5) 결과
질적 연구인데 위의 연구 문제가 확실하지 않고 3가지의 주제를 가지고 Excerpts를 보여주고 있음.
5.1 Restricted Choice Leading to New Interests and Sources of Pleasure
질문: ER 이 좋았나?
답변 및 토론: Book Selection에 대하여 토론함
Sam and Kevin:
- Graded Reader는 원래라면 절대 읽지 않는다. 책의 주제 카테고리도 흥미롭거나 학습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 Graded Reader가 자신들의 EAP 상황에 맞지 않는다는 생각을 가짐
-> Sam은 그래도 새로운 재미를 찾았다고 표현 Kevin은 나중에는 도움이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5.2 Need for a Wider Variety of Reading Materials
Sam and Val:
많이 읽는 학생들로서 나중에는 관심 있는 책이 없어졌고 원하는 책은 다른 사람이 가져가서 못 읽었다고 표현
-> 더 많은 책과 다양한 책을 구비해야 Freedom Principle에 부합함
5.3 More Freedom Leading to Other Reading Motive
Val:
도서관의 다른 책까지 빌리게 되었다. (다른 Graded Reader를 빌려서 읽기까지 함)
Sam:
결국 읽을 것이 없어서 Physics Textbook을 집어 읽었다. (For Dummies 시리즈)
-> 결국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아갔고 목적성이 분명했다.
= EAP 상황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목적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Academic English Knowledge를 얻고 싶어 하기 때문에 Physics Textbook도 ER에 속할 수 있고 그것은 학생에게 주어진 자율성 때문에 그 책을 읽을 수 있게 된 것이다.
= 하지만 ER의 중요한 요소인 Pleasure을 위배하고 Sam도 자신이 30분 이상 읽을 수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academic English knowledge를 얻는 것을 자신의 선택이었기에 좋았다고 한다.
(6) 제언 및 한계
- EAP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학습자들은 ER 임에도 불구하고 ‘Unpleasurable’하지만 positive feeling을 가진 Reading을 할 수 있다.
-> 하지만 이것은 ER이라고 할 수 있을까?
-> Macalister (2015)에 따르면 ER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Content (whether it is enjoyable or not) and language level (The comprehensibility)라고 하기에 ER로 봐도 될지도 모른다.
- 이런 결과에 따라서 Freedom Principle은 ER class에 접합시키기 복잡할 수 있다. 특히, EAP상황이라면.
- 그럼 Intensive와 Extensive reading의 경계는???
-> 한쪽으로만 치우치지 않고 둘 다 있을 수 있다. (Sam의 책 선택)
-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 학생들의 초이스를 잘 모니터 해서 너무 어렵다고 생각이 되면 바꿔 줘야 한다.
-> 다양하고 많은 종류의 책을 구비해야 한다.
Contents provided by Victor, Post Production by Victor
2. Direct Writing, Translated Writing, and Machine-Translated Writing: A Text Level Analysis with Coh-Metrix
(Author: Yuah V, Chon and Dongkwang Shin)
Key words: L2 writing, Machine translation, direct writing, translated writing, machine-translated writing, Coh-Metrixs
(1) 연구의 종류
양적 연구
(2) 연구 Main Theme
- Direct writing and Translated writing
Direct writing (직접 쓰기), Translated writing (First L1 writing and Second translate into Target language)
ü DW vs TW
Uzawa (1996) and Kobayashi and Rinnert (1992) showed TW is better for Low-level writers but not so much for Higher-level writers in the respect of language use, syntactic complexity, quality of content, organization, and style.
Cohen and Brooks‐Carson (2001) presented the opposite result, direct writing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ranslated writing group in the perspective of expression, transitions, and clauses.
문제는 이 연구들이 한쪽으로만 쏠려있는 관점의 writing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text-level analysis처럼처럼 단계를 내려서 자세히 봐야 하고 MW를 같이 고려해야 한다
- Machine Translation for writing
전통적으로 L1 to L2 writing with a help of Machine translation은 학습자에게 좋지 않은 예들을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좋지 않은 모델로 인식이 된다.
앞선 Translation의 측면의 연구들에서는 MT를 sources of errors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Kliffer, 2005; La Torre, 1999; Niño, 2008)
최근 연구들에선 MT를 에러를 잡아내는 도구로서의 역할로 받아들인다.
Lee (2019)에서는 MT로 학생들의 L1 Writing을 L2 Writing로 고칠 때 MT의 도움 없이 우선을 수정하고 다시 MT를 써서 L2 Writing로 번역을 했더니 Lexico-grammatical error가 줄었고 수정본이 좋아졌다고 한다.
KEY 참고문헌:
Lee, S. M. (2019). The impact of using machine translation on EFL students’ writing.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https://doi.org/10.1080/09588221.2018. 1553186
(3) 연구 문제
1. How do the writing products differ on lexical measures (i.e., low frequency words, word information, lexical diversity) in the three modes of writing – Direct Writing (DW), Translated Writing (TW), and Machine-Translated Writing (MW)?
2. How do the writing products differ on syntactic complexity (i.e., left embeddedness, number of modifiers per noun phrase) in the three modes of writing?
3. How do the writing products differ on measures of cohesion (i.e., text easability, referential cohesion, connectives, LSA) in the three modes of writing?
(4) 연구 설계
4.1 참여자
65명의 대학생 (M =28, F = 37) (20~26살)
2 지역에서 왔음 ….. 어디인지 안 말해줌…그러나 두 그룹 모두 영어교육전공
L2 writing course를 듣고 있는 학생들
TABLE 1에서 자세히 나옴
DW, TW, MW를 접해본 사람들에 대하여 5점 Likert scale 설문을 One-way ANOVA로 돌린 결과 DW가 TW나 MW보다 참여자들이 더 접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4.2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4.2.1 Writing Task
Picture Description Task APPENDIX A에 샘플
3그룹, 3개의 Writing Task, 3개의 Writing Mode (DW, TW, MW) TABLE 2에 자세히 나옴
한 Writing session 당 40분 정도 computer lab에서 함 각각의 Writing session당 10분의 휴식…. 한 번에 3개를 다 함.
DW (그냥 한 번에 쓰게 함)
TW (L1 -> L2로 번역)
MW (L1 -> Google Translate (rendition) L2 -> Edited L2)
4.2.2 데이터 분석
- BNC-COCA 25000 RANGE
이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L2 writing의 Vocabulary load of texts를 봄
이 연구에서는 Low frequency vocabulary Vs high Frequency vocabulary를 살펴봄
- Coh-Metrix
문장들을 여러 레벨로 나누어서 분석해 줌. (concreteness, syntax, and cohesion etc.)
TABLE 3에 참조
- One-way ANOVE with repeated measures (Greenhouse-Gerisser)
(5) 결과 (TABLE 4, 5에 잘 정리되어 있음)
- How do the writing products differ on lexical measures (i.e., low frequency words, word information, lexical diversity) in the three modes of writing?
1. Low frequency words (3 rd1000, 4 th1000 words) BY BNC-COCA 25,000 RANGE program
MW가 3 rd1000, 4 th1000 words 둘 다 빈도, 횟수 모두 높았다.
2. Word Information
· Noun Incidence (명사 발생빈도)
= MW가 가장 많음 하지만 TW랑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음
· Pronoun Incidence (대명사 발생빈도)
= MW가 가장 적음 – 의미 전달에 더 좋은 것을 발견
· Familiarity for content words (얼마나 성인에게 더 친근한 단어인가)
= DW와 TW가 MW보다 높은 친밀도를 보임
이것은 MW가 Range를 통해 본 것처럼 Low frequency words를 더 많이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음. – 결국 어려운 단어 많이 사용해서 복잡한 글을 만들어 냈다는 반증
· Hypernymy (상위 단어 사용 (사과, 배 - > 과일) (high value – use of specific words, Lower value – use of less specific words)
= MW가 Highest value 하지만 TW도 비슷하게 high value than DW.
3. Lexical diversity (어휘 다양성)
· Type-Token Ratio (TTR – Token (글 안에 모든 단어), Type (중복 단어 빼고))
· Textual Lexical Diversity (MTLD – 같은 텍스트 안에 TTR을 유지하면서 길게 쓰나)
· Vocabulary Diversity (VOCD – 글의 한 부분의 TTR을 빼서 ideal TTR과 비교)
= 결국 MW가 lexical diversity에서 에서 가장 높은 점수 TTR은 가장 낮음
TW는 MTLD가 가장 높았음 – 이것은 L1 에세이를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MT를 사용했거나 혹은 MT를 사용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아서 같다고 명시함
- How do the writing products differ on syntactic complexity (i.e., left embeddedness, number of modifiers per noun phrase) in the three modes of writing?
1. Left embeddedness (주동사 전의 주어가 큰 문장, 머리 큰 문장) – 평균 주동 사전 단어수)
= MW가 DW, TW보다 둘 다 높았다.
2. Number of modifiers (수식어수)
= MW가 DW, TW보다 둘 다 높았다.
- How do the writing products differ on measures of cohesion (i.e., text easability, referential cohesion, connectives, LSA) in the three modes of writing?
1. Text easability (글이 일기 쉬운지)
· Word concreteness (단어 명확도, Content words가 얼마나 직설적이냐)
= TW가 가장 높았음.
· Verb cohesion (동사 응집성 (Overlapping verb가 얼마나 있느냐)
= MW가 높았음
2. Referential cohesion
· Noun overlap
= MW -> TW -> DW
· Stem overlap
= MW, TW > DW
3. Connectives (접속 어구 접속 어구 관련 – Causal (because, so), Logical (and, or), Adversative/contrastive (although, whereas), temporal (first, until), additive (and, moreover)
= Adversative/contrastive가 MW가 가장 높았음
4. Latent semantic analysis (같은 이야기 계속하는지 분석)
= 별로 차이가 없었음
(6) 제언 및 한계
+ Disscusion
- 이러한 결과들을 봤을 때 Fluency와 Cohesion을 L2 writing에서 좋게 하기에는 MT가 효과적일 수 있다.
- 하지만 Lexical diversity의 측면에서 볼 때 TW가 높았는데 이것은 결국 학습자들이 MT를 사용하는 전략을 정확히 모르는 것 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 Pedagogical Perspective for using MT
1. 학습자들이 MT를 이용하여 계속해서 L2 writing을 한다면 실질적 language learning을 저해할 수 있다. 그렇게 때문에 focus on form instruction을 통하여 학생들이 language item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MT의 무분별한 사용은 자제하도록 한다. MT를 사용하기 전에 글을 구성하는 것을 주의 깊게 고민해 보고 사용해야 한다.
3. 만일 글의 구조나 전개가 차이가 나는 언어 들일 경우 MT를 사용하기 전에 글의 구성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MT를 학습자들이 그저 단어나 문법 문제를 해소하는 도구로만 사용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4. 만일 상질의 결과를 내고 싶으면 Post-editing strategies를 가르쳐야 한다.
- 한계
1. Error analysis를 통하여 이 DW, TW, MW를 봐야 한다. 를 사용하면 lexico-grammatical error가 줄어드는지 봐야 한다 -> Accuracy 측면에서도 봐야 한다.
2. The post-editing의 process의 전략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cross-linguistics features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봐야 한다.
Contents provided by Victor, Post Production by Victor
3. Spontaneous Motion in L1 - and L2 - English Speech: A Corpus-Based Study (Author: Min-Chang Sung and Kitaek Kim)
Key words: spontaneous motion, framing typology, L1 transfer, L2 input, spoken corpus
(1) 연구 종류
양적 연구
(2) 연구 Main Theme
2.1 Spontaneous Motion and Caused Motion
- 어휘 습득에 있어서 공간과 움직임 개념의 발달을 보여주는 의미 자질 중 하나 (Goldberg 1995, 2006; Talmy, 1985)
- Spontaneous Motion
e.g., The man ran down the hill
+ Figure (a moving entity) :움직임의 주체
+ Ground (a reference frame with respect to Figure's moving): 움직임에 참조가 되는 틀, 공간 등
+ Manner (a specific way that the movement occurs): 움직임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영향을 주는 동사의 속성
+ Path (the course followed by Figure): 움직임의 방향(동사 안에 포함되기도 하거나 setellite-framed가 사용이 되기도 함)
*setellite-framed: 전치사나 부사 표현 등을 통해 경로나 위치의 변화를 보여줌 (영어에서는 setellite-framed가 더 많이 쓰임)
- Caused Motion
e.g., The man rolled the ball down the hill.
이 움직임은 이유가 있습니다.
KEY 참고문헌:
Talmy, L. (1985). Lexicalization patterns: Semantic structure in lexical forms. In T. Shopen (Ed.), Language typology
and syntactic description (Vol. 3, pp. 71-14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lmy, L. (2017). Past, present, and future of motion research. In I. Ibarretxe-Antuñano (Ed.), Motion and space
across languages: Theory and application (pp. 1-12). Philadelphia: John Benjamins.
(3) 연구 문제 (Research Questions)
- How frequently do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of English produce spontaneous motion expressions in their speech?
- Among the following three patterns, which pattern of spontaneous motion expression is most frequently used by the natvie speakers and the L2 learners?
a. Motion(V) - Path(S) (e.g., The ball got into the room.)
b. Manner(V) - Path(S) (e.g., The dog ran out.)
c. Path(V) - Ground(N) (e.g., She entered the room.)
- Are the native speakers and the L2 learners different in the use of motion-related verbs?
(4) 연구 설계
4.1 참여자 (Participants)
- Corpora (ICNALE)
코퍼스 데이터 중 원어민 150명 (600 발화), 상급 학습자 비 원어민 100명 (400 발화)
International corpus network of Asian learners of English (ICNALE)
TABLE 1 참조
4.2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데이터는 이미 있는 ICNALE를 사용하였음
4.1 분석방법
- Clauses and verb types
- Words
- Part of speech tagging (POS tag)
61개의 CLAWS5 tagset으로 코딩 후 concordance line과 함께 추출, 이후 연구 문제 2의 a, b, c 세 패턴으로 좁혀서 코딩 후 카이 스퀘어 검정을 통한 빈도 분석
(5) 결과 (연구 문제에 대한 대답)
- How frequently do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of English produce spontaneous motion expressions in their speech?
= NS (native speaker)의 빈도가 전체적인지표에서 유의미하게 높음 (TABLE 2 참조)
- Among the following three patterns, which pattern of spontaneous motion expression is most frequently used by the natvie speakers and the L2 learners?
a. Motion(V) - Path(S) (e.g., The ball got into the room.)
b. Manner(V) - Path(S) (e.g., The dog ran out.)
c. Path(V) - Ground(N) (e.g., She entered the room.)
+ 기존 가정 (a, b는 영어 모국어 화자가 익숙할 것으로, c는 영어를 외국어로 습득하는 화자가 많은 것으로 가정)
=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음 특히 a, b 패턴의 차이가 가설을 확인해줌
- Are the native speakers and the L2 learners different in the use of motion-related verbs?
= 원어민이 motion-related 동사의 양과 종류에서 다양하게 비 원어민보다 더 많이 사용함.
결론: L1의 효과가 크다, 그렇지만 L1 특성과 유사한 동사 사용일지라도 원어민을 앞지르진 않음
(발화 자체가 Argumentative 였고 원어민과 비 원어민의 발화 양 차이가 근 3배 이상 차이 남)
(6) 제언
- 앞으로의 연구들에서 다른 패턴도 확인을 해봐야 한다.
- Pegagogical implications
1. L2 input이 조심히 instruction 되어야 한다 - 부정적인 L1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2. Input-based L2 learning으로만은 L1과 L2의 typological differences를 줄일 수 없기 때문에 intructional treatments가 필요하다 (e.g., explicit teaching, production practies 등)
Contents provided by Victor, Post Production by Victor
공동 프로젝트로써 저희가 이해한 논문의 형태, 기본 개념, 방법론, 결과, 한계를 정리한 것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이야기해 보고 싶은 것이 있다면 밑에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제가 이해하고 있는 영어를 포스팅으로 남깁니다.
만일 오타나 오역, 영어 표현 실수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영어교육 > 최.영.수. 영어교육 솔루션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 영어교육 연구 동향 KATE(한국영어교육학회)편 - Volum 75. Number 2. Summer 2020 (2) (0) | 2020.08.10 |
---|---|
최신 영어교육 연구 동향 KATE(한국영어교육학회)편 - Volum 75. Number 2. Summer 2020 (1) (1) | 2020.08.05 |
최신 영어교육 연구 동향 ALAK(응용언어학회)편 - 36권 1호 2020 (2) (1) | 2020.07.17 |
최신 영어교육 연구 동향 ALAK(응용언어학회)편 - 36권 1호 2020 (1) (0) | 2020.07.03 |
최신 영어교육 연구 동향 KATE(한국영어교육학회)편 - Volum 75. Number 1. Spring 2020 (2) (1) | 2020.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