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oclip.naver.com/channels/5708
이번 2번째 사이클의 주제는 감정노동 (Emotional Labor)와 직무소진 (번아웃: Burn out)에 대한 내용입니다.
감정노동자는 대부분 사람을 상대하는 직업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자신이 원하지 않지만 혹은 자신이 그런 사람이 아닌데 그 직업, 직무에 맞게 감정을 조정하여
때로는 밝고, 때로는 활기차고, 때로는 즐겁게 행동을 할 때서 오는 스트레스가 바로
감정 노동입니다.
'교사가 무슨 감정노동이냐'라고 이야기할 수 있겠지만 교사를 둘러싸고 있는
인적 (학생, 학부모, 동료교사, 학원교사 등),
제도적 (시험, 평가, 교육과정 등),
사회적 (학교, 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등)
요소들이 교사에게 감정노동을 하게 끔 강요하는 현실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감정노동의 끝에서 직무소진 (번아웃)이 와 회의, 실의, 좌절 등의 경험을 하게 됩니다.
이번 팟캐스트에서는 이러한 교사들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번아웃)에 대하여 알아보고
더 나아가 연구와 경험을 통해 이러한 것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도록 합니다.
영어교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1. 감정노동의 정의
1) 고객의 기분에 맞추거나 조직에서 요구하는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원래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고 통제하는 등 감정을 관리하는 노동 (Hochschild, 1983).
2) 승무원, 콜센터 직원과 같은 서비스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초기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점차 연구대상이 확대되는 중
2. 영어교사에게 감정노동 개념이 적용되는가? Yes
1) 교수법 측면: 교사는 학생에게 영어지식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특히 의사소통 방식으로 영어를 가르칠 경우 교사는 학생과 계속적인 상호작용을 해야 함. 이때 교사는 학생과 원만한 의사소통을 진행해야 함
Duncan:
요즘은 의사소통 방식 영어에서 뿐만아니라 문법 교육에서도 상호작용이 많은 수업을 지향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수업에서 교수법을 고민하게 된다.
하지만 교사의 노력과 수고에 양과 학생의 태도와 자세는 비례하지 않는다.
여기서 오는 감정 노동이 심할 수 있다.
2) 한국 상황 측면: 특히 학습동기가 낮고, 영어에 흥미를 보이지 않는 학생들이 많고, 학생의 영어실력 격차가 상당한 한국 교실 상황에서 학생의 동기와 수준을 고려해 흥미를 유발하며 수업을 진행할 때는 상당한 감정노동이 수반됨
3) 외국어로 영어를 공부한 영어학습자 측면: 본인의 영어실력이나 영어에 대한 흥미도와 관계없이, 학생들에게 영어실력과 영어 동기 측면에서 ‘모범’이 되는 교사로 보이고자 함. 특히 유학을 다녀왔거나 높은 영어실력을 가진 학생들 앞에서 교사의 불안을 감추는데도 감정노동이 일어남(예: 구어체 영어 표현 질문, 영어 발음 등)
3. 영어교사가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영역
3.1 인적 요인: 학생, 학부모, 학교 관리자
3.2 제도: 학교
- 학교의 지필고사나 수능 대비를 위해 문제풀이식 교수방법을 윈하는 사회적 분위기 vs 의사소통 능력에 중점을 둔 교수방법을 지향하는 교수자
3.3 사회적 요인
- 교사를 바라보는 사회의 인식과 시선, 통념 (교사는 이래서는 안돼, 영어 발음 안 좋은 영어교사는 실력이 없다?, 영어 시험 점수가 낮으면 영어교사는 실력이 없다?)
Duncan:
자율성과 굉장히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 감정노동과 소진이다.
교사를 통제하는 부분이 많으면 많을 수록 이러한 감정노동과 소진은 따라올 수밖에 없다.
4. 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4.1 감정노동과 소진의 상관관계
- 외부적 요인으로 본인의 감정을 과도하게 억누를 때, 이는 소진(교사들이 스트레스에 스스로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때 나타나는 증상. 신체적으로 지치고, 직무에 대해 무능감과 냉담을 느낌)으로 이어짐
4.2 소진 극복 방안
-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교사 본인이 ‘수동적’으로 감정을 조절해야 하는 의무를 느낀다는 것이 교사 소진의 원인으로 지목됨을 고려할 때, 스스로 주어진 업무강도를 줄이고, 본인의 자원을 높여 업무를 의미 있는 활동으로 바꾸는 잡 크래프팅(Job-crafting) 시도하는 노력이 필요
- 하지만 과도한 행정업무와 대인관계에서 오는 절대적인 스트레스를 무시할 수 없음
<최영수에서 이야기하고 싶은 내용>
Q1. 영어교사로 일하면서 본인이 ‘감정노동자’라고 생각해 본 적이 있는지?
Q2. 외국어를 가르치는 입장에서 감정노동은 과연 피할 수 없는것인지? 사회 전반에서 영어교사에 대해 너무 과도한 기대를 가지는 것은 아닌지?
<같이 보면 좋을 논문들>
1. King, J. (2015). “It’s time, put on the smile, It’s time!”: The emotional labour of second language teaching within a Japanese university. In C. Gkonou, D. Tatzl & S. Mercer (Eds.), New directions in language learning psychology (pp. 97-112). New York, NY: Springer.
2. 문시인, & 안경자. (2020). 한국 초등영어교사의 소진: 유발 및 극복 요인을 중심으로.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25(2), 187-214.
3. Acheson, K., Taylor, J., & Luna, K. (2016). The burnout spiral: The emotion labor of five rural US foreign language teachers. The Modern Language Journal, 100(2), 522-537.
미국 맥락에서 일어나는 감정노동
4. Benesch, S. (2020). Emotions and activism: English language teachers’ emotion labor as responses to institutional power. Critical Inquiry in Language Studies, 17(1), 26-41.
고부담 시험에 대처하는 교사의 자세
5. Moskowitz, S., & Dewaele, J. M. (2019). Is teacher happiness contagious? A study of the link between perceptions of language teacher happiness and student attitudes. Innovation i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1-14.
교사의 행복도와 학생 태도의 관련성
Content Provided by Emma, Post Production by Victor
다음 주에는 일본 상황에서 실행되었던 감정노동 연구를 보면서 조금 더 본격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구 없이는 좋은 수업을 만들 수 없다.
영어교육 이슈와 연구를 리뷰하여
최고의 영어수업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최. 영. 수. 였습니다.
저희가 이해하고 있는 논문을 포스팅으로 남깁니다.
만일 오타나 표현 실수, 분석 실수 등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