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CNN도 믿을게 못되긴 하지만 그래도 팩트 체킹한다니 뭐....
정말 Trump가 이길까?? 요즘 미국 정치에서 가장 핫한 주제이다. Time는 얼마 전 전 Trump 대통령과의 인터뷰 전문을 공개했는데 재미있겠도 사실과 다른 부분이 CNN이 찾아낸 것만 32개로 정면으로 반박을 하고 나섰다는 거다. 인터뷰의 전문이 Time지 웹사이트에 올라와 있기 때문에 확인을 할 수 있는데 사실 CNN이 반박한 걸 가지고 얼마나 이 사이트가 유지될지는 미지수인 것 같다.
물론 인터뷰 후에 Time도 Trump가 이야기한 내용에 대하여 부정확한 부분을 스스로 정정하고 팩트 체크를 했지만 CNN에서는 조금 더 심층적인 팩트 체킹을 내보내버려 흥미로운 내용들이 있는 듯하다. 2개의 인터뷰에서 32개의 사실들을 뽑아 체크했다고 하니 아마도 이번 포스팅을 포함해 33개의 대장정이 될 것 같다.
하지만 이게 사실이냐 사실이 아니냐에 포커스가 맞춰지기보다는 기사 자체가 생각보다 잘 쓰인 글이고 또한 기사로써는 정말 강한 어조로 Trump를 공격하고 있기 때문에 직설적이지만 고급 표현들이 꽤나 많아서 우리는 여기서 배울 점만 배우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포스팅을 해본다. 오랜만에 멈춘 영어 포스팅에 활력을 주기 위해서 ㅋㅋ
원문
TIME Interview with Trump
CNN Fact Checking
English Version
Former President Donald Trump delivered a bombardment of dishonesty in his interviews with Time magazine.
Trump, the presumptive Republican presidential nominee, made at least 32 false claims in the two April interviews that Time released this week. His serial inaccuracy spanned a wide range of subjects, including the economy, abortion, the NATO military alliance, the January 6, 2021, attack on the US Capitol, his legal cases, his record as president and the 2020 election he has relentlessly lied about for more than three years.
Time published its own fact check of some of the 32 claims on Tuesday, when it released its cover story on Trump. Here is an in-depth CNN debunking.
한글 해석
전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가 타임 매거진 인터뷰에서 거짓주장의 폭격을 쏟아냈습니다.
TIME이 이번 주에 공개한 두 개의 4월 인터뷰에서 공화당 대통령 후보 점쳐지고 있는 트럼프는 적어도 32건의 거짓 주장을 했습니다. 그의 계속되는 부적확한 주장은 경제, 낙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군사 동맹, 2021년 1월 6일 미국 국회의사당 공격, 그의 법적 사건, 대통령으로서의 기록, 그가 3년 이상 끊임없이 거짓말한 2020년 대선 등과 같은 다양한 주제를 포괄했습니다.
타임은 트럼프에 관한 일부 주장들에 대한 자체 사실 확인을 화요일에 발표했으며, 이로써 트럼프에 대한 커버스토리를 공개했습니다. 여기에 CNN의 심층적인 폭로를 담고 있습니다.
1. Bombardment
제목에도 나와있는 이 단어의 경우에는 Bombard의 동사에서 시작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Bombard는 '공격을 퍼붓다'라는 뜻으로 물리적인 공격일 수도 있겠지만 질문이나 비난, 항의 등을 '쏟아붓다', '퍼붓다'라는 뜻으로 생각하면 다.
Bombard + ment로 명사화를 하여 '포격', '폭격', '충격'이란 뜻으로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이 단어의 경우 of를 많이 사용하여 bombardment of로 '~의 폭격'이라고 표현이 되는 경우가 많다.
기사에서도 살펴보면 bombardment of dishonesty로 '거짓 주장에 대한 폭격', '거짓 주장에 대한 공세'라는 뜻으로 같이 사용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혹은 deliver와 함께 묶여 deliver a bombardment로 '~ 폭격을 쏟아내다'라는 뜻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문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The city came under heavy bombardment.
(그 도시는 심한 폭격을 받았다.)
2)
They do not support the bombardment of Iraq and they want a peaceful resolution.
(그들은 이라크의 폭격을 지지하지 않으며 평화적 해결을 원한다.)
3)
Our moral values are being degraded by the bombardment of impropriety by the media.
(우리의 도덕적 가치는 미디어에 의한 부적절함의 폭격에 의해 폄하되고 있다.)
예문 1,2)의 경우에는 '폭격'으로 사용되어서 미사일이나 화력 공격 등의 물리적 폭격에 대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예문 3)의 경우에는 bombardment of impropriety로 '부적절함의 폭격'이라고 되었는데 여기서는 물리적이기보다는 주장, 비난, 질문 등을 '쏟아붓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2. Presumptive
항상 기사들을 보면 이런 어려워 보이는 단어가 있는데 사실은 동사를 명사화 혹은 형용사화 시켜서 만든 단어라는 것을 알면 쉽게 접근을 할 수 있다. 재미있게도 대부분의 언어들에서 이런 현상이 나오기 때문에 응용을 잘하면 감을 잡을 수 있다.
일단 pre + assume + tive 정도로 뜯어서 생각을 해보면 좋다. (물론 어떤 어근법에서는 presume이 root자체라고 보는 경우도 있다.)
assume이 추정하다는 뜻이니 어떤 것들이 미리 되어있다는 뜻을 pre로 주어 presume이 되어 '상정하다, 간주하다'라는 뜻으로 생각하면 된다. 이 assume과 presume의 차이는 assume의 경우에는 근거가 없는 경우가 있어 사실이 아닐 수 있고, presume은 거의 그러하다는 확신이 약간은 들어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presume을 근거가 없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법정에서 거짓이 밝혀지기 전에 사실이라고 가정하는 것을 이야기할 때에는 presume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 presume에 tive를 붙여 presumptive가 되어 형용사로 '추정상의, 점치고 있는'이란 뜻으로 사용된다.
기사에서 보면 아직 트럼프 이외에 공화당에서 대통령 후보로 내세울만한 인물이 없기 때문에 presumptive Republican presidential nominee '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점쳐지는'이란 뜻으로 사용되었다.
예문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His title was presumptive rather than conferred.
(그의 권리는 수여된 것이라기보다는 추정에 의한 것이었다.)
2)
The King's brother is heir presumptive to the throne unitl the heir apparent is born.
(그 왕의 아우는 왕위의 법적인 추정 계승자가 태어날 때까지는 추정 계승자(상속인)이다.)
예문 1)에서는 '추정된'이란 뜻으로 사용되었다.
예문 2)에서는 heir presumptive로 '추정 계승자, 추정 상속자(인)'으로 사용되었다.
3. Relentlessly
이 단어도 위의 presumptive와 마찬가지로 뜯어볼 수 있는 단어이다.
relent + less + ly로 뜯어서 살펴볼 수 있다.
일단 뿌리인 relent는 동사로 기본적으로 '수그러들다, 누그러지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동의하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는데 이 동의하다는 동의하지 않다가 풀이 꺾여서 어쩔 수없이 '동의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relent에 less를 붙여 반대의 뜻을 만들어 형용사가 되면 '수그러들지 않는, 끈질긴, 집요한'이란 뜻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어떤 힘의 강력함을 좀 더 표현한다면 '가차 없는, 무자비한'이란 뜻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ly를 붙여 부사로 만들어지면 가차 없이, 줄기차게, 사정없이, 끈질기게, 끊임없이'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기사에서는 Trump의 2020년 선거에 대하여 3년째 같은 거짓말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고 하면 relentlessly lied about으로 사용하고 있다.
예문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The sun glared down relentlessly on us.
(햇빛이 사정없이 우리 위로 강하게 내리쬐었다.)
2)
The reporter dogged him relentlessly.
(기자는 그를 끈질기게 따라다녔다.)
예문 1)에서는 '사정없이'라는 뜻으로 물리적인 힘에 대한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예문 2)에서는 '끈질기게'라는 뜻으로 행위에 대한 묘사를 한 것으로 사용되었다.
4. Debunking
이 단어는 언제부터 쓰였는지 알 수 없지만 꽤 재미있는 단어이기도 하고 알고 있다면 어디선가 아는 척하기 좋은 단어이다.
debunk는 어떤 생각이나 믿음, 주장 등을 틀렸다는 것을 반증하는 행위 전체를 말한다.
참 간단하게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단어이지만 표현하자면 '폭로하다, 밝혀내다, 들춰내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단어 자체가 잘 살펴보면 de + bunk '벙커를 뒤집다'라는 뜻이 되기 때문에 벙커에 숨기고 있던 것들을 들춰내서 세상에 폭로하는 느낌이다.
위의 기사에서는 -ing를 붙여 동사를 명사처럼 사용해 트럼프의 거짓 주장에 대한 '폭로'를 표현하며 이 단어를 사용하였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The BBC's debunking in this cas was not conclusive.
(이 사건에 대하여 BBC의 폭로는 결정적이지 않았다.)
2)
There are a lot of blogs as well that have been debunking a lot of 9/11 conspiracy theories.
(9/11과 관련된 음모론들이 틀렸다는 걸 밝혀내고 있는 블로그들 또한 많이 있다.)
예문 1)에서는 '폭로'라는 뜻으로 기사와 같이 명사로 사용되었다.
예문 2)에서는 동사로 '틀렸다는 걸 밝히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제가 이해하고 있는 영어를 포스팅으로 남깁니다.
만일 오타나 오역, 영어 표현 실수 등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