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교육/최.영.수. 영어교육 솔루션 프로젝트

최신 영어교육 연구 동향 KAMALL (한국멀티미디어 언어교육학회) Volume 23 Issue 3, 2020 (1)

by 매드포지 2020. 10. 7.
728x90
반응형

www.podbbang.com/ch/1777152

 

최.영.수.: 최신 연구로 살펴보는 영어교육과 수업

연구없이는 좋은 수업을 만들 수 없다. 최신 영어교육 연구와 수업의 이슈를 살펴보는 최영수입니다. 최신 연구들을 살펴보고 그 연구주제와 수업에서의 적용점과 개선점을 찾습니다. 저희 방��

www.podbbang.com

 


Blended Learning: The Way Forward for Korean Universities

 

Author: John Burrell, Jee Eun Lee

Key words: Blended learning, Korean university, student perceptions, higher education, learning styles, reading activity

 

(1) 연구 종류

혼합 연구 (Mixed Method)

 

(2) 연구 Main Theme

-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영향으로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연구 증가(확산속도 및 유용성 측면)

- 향후 블렌디드 러닝의 확대 및 일반화에 대비한 연구(읽기 및 읽기 후 활동까지 적용하여)

-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대학 수준의 인식 및 효과성 현장 연구 필요

 

(3) 연구 문제 (Research Questions)

- RQ1교수자와 학생이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태도(인식)가 어떠한가?

- RQ2교수자와 학생이 블렌디드 러닝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4) 연구 설계

4.1 참여자

대학생 46명(한국 44, 네팔 2, 학년 구분(14,16,12,4)), 교수자 3명

 

4.2 데이터 수집 방법

- 읽기 수업: 면대면 수업 주 2시간 + 온라인 활동(Highlights Library)

- Highlights Library에서 제공되는 읽기 자료 중 일부를 선정하여 요약 등의 활동을 하게 하고, 추가 자료를 후에 추가로 선정하여 읽기 및 활동을 완수하도록 함

- 학생들은 설문조사 통해(General, Course Design, Interaction with the Teacher, Individual learning processes, Learning Outcomes, Traditional vs. Blended Learning) 영역 응답 측정

 

4.3 분석 방법

- 비모수 검정(정규성을 따르지 않음) 통계 사용

- 응답 결과의 남녀 차이 비교를 위해 Mann-Whitney U 사용

- 응답 결과의 4개 학년별 비교를 위해 Kruskal-Wallis 사용

 

(5) 결과

- pp.41-42 table 1-3까지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경험의 정도, 선호 수준(수업 유형, 상호작용 유형) 조사

- table 4-9까지 리커트 스케일, 그러나 통계 사용 결과가 없음, 문항별 기술통계만 있음

- RQ1교수자와 학생이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태도(인식)가 어떠한가?

A1) 교수자 및 학생 모두 긍정적이어서 기존 선행연구들 결과와 부합

- RQ2교수자와 학생이 블렌디드 러닝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A2) 블렌디드 러닝의 모든 측면을 다 유용하게 학습자들이 이용하도록 하는 것(어떤 교재, 어떤 장비, 어떤 플랫폼, 어떤 기술적 이해를 통해 교수활동에 적용할지가 어려움)

 

(6) 결론 및 제언과 한계

참여자들(학습자, 교수자)은 Blended-learning이 처음임에도 불구하고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취했다. 이는 다른 연구들과도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문제점을 보자면 학습자들이 수업 밖에서 서로 인터렉션을 할 효과적인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관에서 blended learning의 이점을 십분지일 활용할 수 있는 LMS의 사용 확대와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앞으로의 Blended-learning에 중요하다.

 

Contents provided by Duncan, Post Production by Victor


Can Individual MALL Be Sustainable?: A Case Study of Korean College Students

Author: Yeonhee Kwon, Heyoung Kim

Key words: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sustainability, Individual MALL, sustainable MALL,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1) 연구 종류

정성적(qualitative) 연구

 

(2) 연구 Main Theme

- MALL 활용 학습의 특성(교실의 특성/교사 중심적 특성과 차이 있음 인식)

- 지속가능성은 개인/학습자 요인의 성격이 큼 ->사회적 관점의 분석 필요

(3) 연구 문제 (Reseach Questions)

- RQ1. 학습자 동료 간 의사소통이 학습자의 MALL 학습 지속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 RQ2. 촉진자가 학습자의 MALL 학습 지속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 RQ3. 사회 관계망 서비스가 학습자의 MALL 학습 지속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KEY 참고문헌:

Kearney, M., Schuck, S., Burden, K., & Aubusson, P. (2012). Viewing mobile learning from a pedagogical perspective. Research in Learning Technology, 20(1), 1-17.

Kim, H. (2016). Mobile app design for individual and sustainable MALL: Implications from an empirical analysis. In A. M. Gimeno Sanz, M. Levy, F. Blin & D. Barr (Eds.), WorldCALL: Sustainability and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pp. 244-264). New York: Bloomsbury.

 

(4) 연구 설계

4.1 참여자

53명(교수자 수업 수강학생, 1학년 46명, 2학년 3명, 3학년 3명, 4학년 1명), 교수자 1명

- EFL 수업 수강자, 절반가량이 모바일 학습 경험 있고 동기 및 실력이 높음

 

4.2 데이터 수집 방법

           순서: pre-survey, a MALL workshop, 12주 individual MALL period, open-ended survey

- 영어학습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설치 후 사용(Edmodo-페이스북과 각 대학에서 사용하는 LMS의 혼합형, 유동성 높음, 결국 SNS+LMS지향), 스터디 로그 누적, 소셜미디어 사용 및 소통

- 중점 확인: MALL에 대한 인식, 학습 간 어려움/제한, 이점

- 교수-학습자, 학생 간 의사소통 활성화

- 정성적 자료 수집(study logs, collaborative talks on social media, and conducted an open-ended survey)

 

4.3 분석 방법

- Strauss and Corbin’s (1998) 정성적 코딩 및 이론화 방법 사용(개방, 축, 선별 코딩)

- 데이터는 단순 스터디 로그(543개) 뿐만 아니라 LMS에 남겨진 게시글+댓글 타래(429/543)까지 모두

 

(5) 결과

- 전체적으로 대학 레벨에서의 MALL 특히 SNS+LMS기능의 앱이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

- MALL could be sustainable with social interactions promoting self-regulatedness

 

- RQ1. 학습자 동료 간 의사소통이 학습자의 MALL 학습 지속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A1) a. 각 주간 질문이나 수업에 대한 코멘트는 상황에 따라 양이 다르지만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은 지속되었음 (p.157)

b. 자신의 공부가 잘 되지 않는 측면은 남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으나,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학습법 및 자료에 의해 자극 및 동기부여를 받기도 함

c. 자료교환의 측면에서 주로 학생 간 의견교환이 주를 이루다가 정보교환이 늘어남, 이후 서로 추천사항이 일부 생겨남 (p.160)

d. 일반 대화의 측면에서 앱/학습 방법에 대한 느낌/찬사의 양이 주로 많다가 격려와 찬반 논의가 학기말로 갈수록 소폭 상승함, 특히 찬반 논의가 학기말에 늘어남 (p.162)

 

- RQ2. 촉진자가 학습자의 MALL 학습 지속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A2) a. 교수자에 의해 동기부여 및 새로운 정보를 접함

 

- RQ3. 사회 관계망/협력학습도구 서비스가 학습자의 MALL 학습 지속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A3) a. 학습 커뮤니티의 학습 일원임/소속감을 자각함, 마치 진짜 교실 같음을 느낌

b. 소개받은 학습 자료 및 방법을 ‘나도 사용해보겠다’라는 자극을 받게 됨

c. 편리성 및 유용성을 스스로 경험함

d. 스스로의 학습을 반성 및 점검하게 됨

 

 

Contents provided by Duncan, Post Production by Victor

 


 

저희가 이해하고 있는 논문을 포스팅으로 남깁니다.
만일 오타나 오역, 표현 실수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